PGR21.com


Date 2002/05/20 06:06:41
Name 제갈공명
Subject 게임은 이렇게 하는것이다..이재훈선수 화이팅~
숨은 고수 이재훈..그는 꽤 스타크래프트를 아는 사람이라면 알고있었을 이름이다. 그동안 리그에는 잘 나오지는 않았지만..그의 실력을 아는사람들이 많았다..
그는 돌연듯 이번 2002 시즌부터 나오기 시작해서 많은 화재를 뿌리며
혹독한 데뷔전을 치렀다..
종족최강자전을 통해 처음으로 그를 볼수있었는데..그당시..이윤열의
플레이에 아쉽지만 패배를 했었다. 그때 까지만 해도 과연? 잘할수있을까? 생각했지만..그는 해내고 만다..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kpga스타리그 홍진호와의 경기..테크트리가 갈대로 간 저그를 상대로
포로토스가 승리했다는것은 정말이지 쉬운일이 아닐것이다..
하지만..지금 말하고 싶은것은 이것이다..요즘 이재훈선수를 따라다니는 말이 있다..역전패의 명수..온겜넷스타리그에서의 변길섭선수와의 경기에서와도 이윤열선수와의 경기에서도 유리한 상황에서 도저히 프로토스가 질상황이 아닌상황에서 지는 경기를 보여주었다..개인적으로 많이 아쉽다..하지만..그런게 다가 아닌듯하다..이재훈선수는...쇼맨쉽이 뛰어나다고 생각한다..진지한듯한 포커페이스 속에는 남들에게
특이한것을 보여주는듯한 플레이들..아비터 무한게이트 프로브 자원릴레이 ㅡㅡ; 요즘들어 승패에 너무 집착하는 다른선수들과 비교해볼때..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 난 세르게이라고 하는 외국인선수를 좋아한다. 그선수는 극단적인 인조이 플레이가 눈에 보일정도이다..물론 패배를 하면 기분이 나쁘다..승리를 하면 기분이 좋다..하지만..그런것을 뛰어넘어 졌으면 운이 나빴다던가..자신이 잘못했다고 생각하면서..그패배를 쉽게 극복하는것이..더욱 보기 좋을거라고 생각한다.승리만을..보여주는 선수에게 남는것은 패배했을때 왜 승리하지 못하느냐는 질책뿐이고 비록 졌지만..패배를 깨끗히 인정하고
게임플레이 자체를 좋아한다면 그선수는 패배를 해도 어떠한 질책도..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한다.
굳이..승율..kpga랭킹만이..프로게이머 세계의 전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프로게임리그 역시..보는이들의 즐거움을 위한 것이다..즐거움을
주는 선수는 오래도록 기억되리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재훈선수에게 하고싶은 말은..앞으로도 굳이..승패에 연연하지 마시고 자신만의 독특한  플레이를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셨으면 합니다.힘내시고 화이팅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타,,,
02/05/20 07:47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 라는 직업인데 승패에 초연할수 있을까요?,, 많은 게이머들이 "생활고" 를 해결할수 없다고 안타까워 하는 현실에서 승리에 대한 초연함을 바란다는 것은 너무 이기적으로 "보는 입장" 만 생각 한거 아닌가요?,,
Dark당~
02/05/20 09:05
수정 아이콘
이게 말이 될지 안될진 잘 모르겠지만..-_- 제갈공명님 말씀에도 공감이 가고.. 스타님 말씀도 공감이 갑니다. 프로겜머는 승패만으로 되는것도 아닐것이고, 또한 보여주기만 하고 승패와 넘 동떨어진다면 그 또한 안될 것이고.. 그 모두를 감안 해얄텐데.............. 쉬운게 아니겠죠.. 이재훈선수도 아직 방송등에서는 그리 많이 본 편은 아닌거 같은데.. 갠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요소를 많이 갖고 있는 선수인거 같아 관심이 갑니다.. 앞으로도 계속 선전 하시길.......
Rokestra
02/05/20 14:43
수정 아이콘
이재훈 선수는 다 좋은데 아이디가 좀.....-.-;;;
아이디 끝에 zip이라는 말이라도 추가해주시면 안될까요???
02/05/20 14:45
수정 아이콘
그래서인지 요즘 이재훈선수 닥똥아디 안쓰고 foru라는아이디쓰져...너를위해서~~
신미영
02/05/20 14:46
수정 아이콘
--; 유쾌하군요 --;
02/05/20 17:15
수정 아이콘
집이 들어가면 더 이상할것같아요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41 [잡담] Reset. [3] Apatheia1243 02/05/24 1243
3132 kpga어제 경기가 어떻게.. [3] 포 아둔~!1387 02/05/24 1387
3129 [잡담]임요환선수..대체..왜?... [5] 제갈공명1626 02/05/24 1626
3104 겜방송사의 프로게이머에 대한 처우개선 필요 [2] 윤석배1070 02/05/23 1070
3099 희대의 라이벌 이윤열:이재훈 과거의 임요환:임성춘을 보는듯 [8] Legend3317 02/05/23 3317
3095 [kpga] 재미없는 저그VS저그 보다보니까 나다포유준위1375 02/05/22 1375
3053 게임은 이렇게 하는것이다..이재훈선수 화이팅~ [6] 제갈공명1323 02/05/20 1323
3049 3대 메이저 4개대회 8강 진출 현황 [7] 수시아1876 02/05/19 1876
3041 kpga 이재훈-홍진호 전을 이제야 보고.. [3] nowjojo1862 02/05/19 1862
3040 1.08이후 프토 vs 저그 각종 대회 전적 로템/라이벌리 [8] 자퇴생임건호1453 02/05/19 1453
3035 플토 vs 저그의 로템전 전적 [5] wook981688 02/05/18 1688
3030 2002 kpga투어 3차리그에 대한 간략 정보.. [21] Sir.Lupin1974 02/05/18 1974
3004 [분석] 어제 경기에서 드러난 플토의 문제점. [16] 목마른땅1366 02/05/17 1366
2996 kpga투어 파이널 8강 경기결과 수시아1044 02/05/17 1044
2993 이재훈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다가 절대 질수 없는 상황에서 번번이 역전패 [19] hasuchobo1508 02/05/16 1508
2991 오늘 kpga 정말 명경기였습니다. [3] nting1251 02/05/16 1251
2980 오늘 8시에는 .... [7] SoberMan1074 02/05/16 1074
2955 스투 김진태씨 기사를 보고 나서.. [19] 천승희1661 02/05/14 1661
2900 테란의 원팩더블... 과연 어떻게.... [3] [귀여운청년]1616 02/05/10 1616
2888 블레이드 스톰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13] Sir.Lupin1502 02/05/10 1502
2880 음.. kpga 패자조 4강 [9] Madjulia1400 02/05/10 1400
2846 김창선 해설위원 에게 드리고 싶은 글.. [1] 낭천1371 02/05/09 1371
2845 어느 프로게이머의 바닥이 닳은 마우스를 보고.... [13] Rokestra2261 02/05/09 22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