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5/16 23:39:54
Name hasuchobo
Subject 이재훈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다가 절대 질수 없는 상황에서 번번이 역전패
이재훈 선수 승리와 인기라는 두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으려다가 절대 질수 없는 상황에서
번번이 역전패 당하는군여

지난번 kpga 8강전 홍진호와의 경기가 명승부전이라고 게시판에서 화제가 되니까
또다시 게시판의 화제로 떠오르고 싶어서 그런지 지나치게 쇼맨쉽과 재미에만 치중하는 플레이를
보여주려고 하는 모습이 신예선수답지 않게 인기에 연연하여 욕심을 부리는거 같습니다
신예선수면 신예선수답게 겸손한 모습으로 최선을 다해 이기는 플레이를 해야 하는데
네이트배 변길섭과의 경기에서도 아비터를 뽑지 않고 멀티 늘리며 캐리어로 갔으면
절대 질 수 없는 경기를 삽질 하다가 역전패 당하더니
오늘 kpga 이윤열과의 파이널 8강전에서도 게이트웨이를 50개나 짓는 오바를 하며
간간히 질럿을 섞은 노업 온니 드라군 어택땅으로 시즈탱크에 유닛을 꼴아박는 삽질로
이윤열에게 승리를 헌납하고 말았군여

가뜩이나 플토 암울 암울 하고 노래를 부르는데 이재훈 뭔 배짱인지.. 이거야 원-_-;;;
네이트배에서도 변길섭이 잘했다기보다 이재훈이 삽질하다 역전패 당하고
오늘경기에서도 이윤열이 잘했다기보다 이재훈이 삽질하다 역전패 당하고
이러다간 이재훈에게 '삽질 역전패의 황제'란 별명이 붙을지도~~~~~~~

이재훈선수 다음부터 최선을 다하는 플레이로 역전패당하지 않길 바랍니다
인기는 억지로 얻어지는게 아니라 최선을 다해서 멋진 경기를 보여줬을때 저절로 따라오는검다
지나친 쇼맨쉽은 오히려 인기에 마이너스가 된다는걸 명심하길..............................

P.S.
이 글이 pgr 운영자님들로부터 각별한 사랑을 받고 있는 이재훈 선수를 비판하는 글이라서
삭재당할지도 모르지만 무조건 감싸는게 좋은 건 아닙니다.
무조건 플겜머 감싸려고만 하지 말고 비판할건 비판해서 반성하게 합시다.
이재훈선수가 중요한 대회에서 이길 수 있는 경기를 두번이나 지나친 쇼맨쉽을 의식한
삽질 때문에 놓치는걸 보니 열받아서 더 이상 참지 못하고 글을 올리는 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2/05/16 23:46
수정 아이콘
음.. 선수들마다 장단점이 있는건 당연한거 아닐까요?
이윤열 선수는 옛날에 공격에는 최강이었지만 방어에는 무지하게 약한 모습을 많이 보여 주기도 했습니다.
김정민 선수는 정석적인 플레이로 방어와 힘싸움에 최강이지만 홍진호 선수 같은 지구력 있게 폭풍같이 게릴라전을 하면 약해집니다..
그런것처럼 이재훈 선수도 하나의 단점을 가진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완벽한 프로게이머가 어디있겠습니까? 그리고 '삽질'이란 표현은 좀 과격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이재훈 선수를 비판한다는거에 대해는 저도 공감하는 부분이군요..
마지막으로 약점을 가졌던 선수들도 수많은 연습을 통해서 극강이 된것과 마찬가지로 이재훈 선수도 많은 연습으로 끝내기를 기르시길..
02/05/16 23:52
수정 아이콘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상황에서는 적당한 쇼맨쉽도 보여주는게
프로게이머라고 생각하는데요. 온게임넷에서 붙여준 한량토스라는
별명답게 다소 내키는대로 경기운영한다는 느낌이 있기는 해도
그만큼 이윤열선수가 잘한 면도 없잖아 있는 것이겠죠.
지난번에 한번 논란이 된 적도 있지만, 제 생각은 그대롭니다.
비판 할 때 하더라도 말은 가려서 해야 한다는거죠.
02/05/16 23:55
수정 아이콘
음 그렇기도 하지만 이재훈선수는 이겼다..싶으면 방심해버리는 고질병이 있는듯해요...지난번 홍진호 선수와의 대전도 사실 홍진호님이 잘한거긴하지만 약간 방심안했다고 할수도 없고..itv에서 변길섭님이랑 한 라이벌리에서이 대결도 다이겼다 싶으니까 캐리어 걍 어택땅해서 다잃더군요...물론 지상병력으로 밀어서 이기긴했지만..쇼맨십보여주기전에 우선 할건 해야한다고봅니다
02/05/16 23: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윤열선수를 좋아해서인지 명승부였을뿐 그 외의 다른 생각이 들지를 않네요 ^^ 다만 이재훈선수가 조금 여유를 부린게 아닐가 하는 생각은 남습니다 앞으로 분발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네요 힘싸움의 대가 이윤열 화이팅
Rokestra
02/05/16 23:56
수정 아이콘
변길섭 선수와의 경기는 맵이 사일런트 볼텍스이다 보니, 아비터를 쓴 건지도 모른다는 생각 했더랬습니다만, 오늘은 솔직히 심했습니다. 토스가 인구 200이 차면 캐리어를 4~8기 모으면서 게이트를 동시에 늘리는게 상식 아닌가요....특히 리버 오브 플레임 같은 지형에서...게이트 수십 개로 승부를 보려 하다니....
이재훈 선수의 쇼맨쉽이 아니었을 가능성 두가지만 찾아보자면....더블 커맨드를 수차례 저지하고 너무 방심한 나머지, 지도의 캄캄한 멀티 지형을 가보지 않다가 나중에 확인하고 당황했거나...(저는 중반이 되어 지도에 캄캄한 지형을 못참는 스타일인데...절친한 고수급 후배 하나가 있는데 그 녀석은 섬 멀티 체크, 종족을 가리지 않고 잘 안하더군요...너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때까지요..겜아이 1800까지 가는 토스인데도 말이죠....) 아니면 날아온 배랙이 캐리어를 일찍 확인한 걸 보고, 역으로 게이트 유닛으로 가야겠다고 오판한 걸 수도 있습니다. 둘 다일 가능성도 있어 보이구요....
02/05/16 23:59
수정 아이콘
훗. 글 쓰신 분이 이재훈 선수보다 더 열받으실수도 있을까요? 비판해서 반성하게 하는데 PGR이 동원되어야 하는 이유는 아직도 모르겠군요. PGR말고도 수많은 게시판에서 그렇게 할테니까요. 이 곳 한곳만이라도 그런 불편한 맘없이 볼 수 있는 게시판이 되는 건 그렇게도 불가능한가요? 말씀하신데로 열이 받으셔서 되는데로 글을 쓰신 것 같은데 그건 글쓰신 분이 주장하시는 비판이 아니라. 단순한 감정의 배설.입니다. 이 곳만은 그런 감정의 배설장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이광은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이재훈 선수는 늘 자신의 별명대로 경기를 합니다...
그건 절때 인기를 위해서가 아니고 자신의 스타일이기때문입니다...
02/05/17 00:08
수정 아이콘
오바? 꼴아박는 삽질?
이런 질낮은 얘기하고 싶거든 남들 보고 있는 공공 게시판에서 할 것이 아니라 이재훈 선수 얼굴 앞에서 하시죠..
과연 그럴 용기가 있는지..
정 안되면 전화를 하던가.. 메일을 보내던가..
어쨋든 다른 사람 보는 앞에서 말은 가려서 하길 바랍니다..
Rokestra
02/05/17 00:10
수정 아이콘
네....경기를 보며 저도 저것이 바로 이재훈 선수의 다른 별명인 '한량 프로토스'의 약점인가? 싶더군요...긴장하지 않는 침착한 모습이 강점이 될 수도 있고, 약점이 될 수도 있겠군요...
이광은님의 말이 옳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hasuchobo님 '삽질'이라는 표현은 너무 하시네요. 그 표현 없이도 뜻은 충분히 전달되는 것 같네요.
천승희
02/05/17 00:12
수정 아이콘
이번경기는 좋게 말하면 실수고 나쁘게 말하면
삽질이죠 단어의 차이일뿐...
02/05/17 00:13
수정 아이콘
유리한 상황에서 경기를 역전패 당했다는 것...
상황을 유리하게 끌어갔다는 점에서
또 역전패당할 그런 '껀수'를 이재훈 선수는 보완해나갈것이라는 점에서..
이재훈선수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선수가 아닐까요?
(토스 유저라서 무조건 감싸주고 싶어요-_-;;)

http://tsclan.wo.to/
신미영
02/05/17 00:18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에게는 선수라는 호칭이 붙고
이윤열선수에게는 선수라는 호칭이 붙지 않았군요?
난감..
stargazer
02/05/17 00:23
수정 아이콘
선수 호칭은 골고루 안붙이신 것 같은데..-_- 이재훈선수와 플토를 응원하는 맘은 느껴지는데요...잠시 기분 가라앉히고 글을 쓰셨으면 더 좋았을듯 싶네요.
식용오이
02/05/17 00:59
수정 아이콘
자자~ 여러분 흥분들 가라앉히시고 ^^
기욤선수와 이윤열선수의 겜티비 준결승 중계할 때
김창선님 해설이 떠오르네요.

'관록의 힘'

뭐..... 스타일일 수도 있고, 무모함일수도 있겠지요.
그러다가 관록이 쌓이고, 승리와 우승의 짜릿함을 알게 되면 더 강한 선수가 되겠지요.
천재테란이건, 샤이닝프토건 아직 커가는 선수들이자나요. 예방접종과 사랑의 매도 좋지만... 애를 죽이면 안되겠지요. ^^
Rokestra
02/05/17 01:12
수정 아이콘
암튼, 이재훈 선수가 '김병현 프로토스'라는 별명을 얻게 되기를 기원하며 계속 응원할 겁니다~(썰렁한가?-.-;;; 마무리를 잘했으면 좋겠다는....)
기욤 팟팅!
탄지신공
02/05/17 04:40
수정 아이콘
hasuchobo 님이 이재훈선수의 팬이신거같네요..
그래서 더 흥분하신거같아요.. 이해가 가네요. 플토 화이팅~
02/05/17 09:45
수정 아이콘
요즘 공식전에서 플토의 모습을 보기 힘들어서 그런지 플토게이머를 보면 왠지 애틋한 감정이 듭니다. 어제 이재훈선수의 두 게임 저도 보았지만, 그래서 hasuchobo님의 격앙된 심정도 이해 되지만, 그렇지만 역시addict 님 말씀처럼 윗글과 같은 내용은 다른 게시판에서 셀수도 없이 나옵니다. 이재훈선수가 좀 더 분발해서 플토의 중흥을 이끌수 있도록 격려와 응원을 더 많이 보내고 싶습니다.
커피우유
02/05/18 23:45
수정 아이콘
저도 베넷에서 같은 경험을 한적이 있었는데요 방심이 원인이였습니다.
정말 비슷한 상황이였는데 저는 다 이겼다 싶어 멀티 늘리고 천지 게이트 한적이 있었죠.
노콘트롤에 지속적인 물량확보와 어택의 연속....상대는 꾸역 꾸역 버티기 모드로...
섬멀티 내주고....앞마당까지 먹으면서 버티더군요.
결국 상대는 자기가 200 채웠을때 한번 내가 꼬라박기를 기다리고 있었고 제가 병력 꼬락박는 그 타이밍에 우루루루....
풀업 메카닉 부대에게 일순간 중앙 장악 당하자 아무리 많은 물량을 쏟아 부어도 뚫을 수 없는 지경이 되었죠.
저는 안전하게 이기기위한 보험이였는데 상대의 덧에 걸려들고 만 것이죠.
그 게임 이후 그렇게 버티기 하는 테란에게는 200 병력 채운 후 스타게이트를 다수 건설해 둡니다.
그리고 절대 병력을 그런식으로 헌납하지 않습니다.
상대가 전진만 못하도록 막고 추가멀티만 막아줍니다.
멀티지역에는 포톤을 군데 군데 막아 놓아 게릴라를 원천 봉쇄합니다.
그리고 케리어는 6기 이상 모이게 되면 그 위력이 상당하더군요.
기욤이 김동준 선수와의 일전에서 온리 케리어로 역전하는 것을 보고 케리어의 위력을 다시금 실감하게 됬죠.
그리고 리콜을 노립니다.
아비터 3~4기 정도 만들어서 본진 멀티 정신없게 리콜해버이죠.
이런식으로 하면 중앙 장악 당해도 테란의 후속병력 부재로 뚷어내기가 수월해지죠.
이재훈 선수 유리해지면 방심하는 고질병을 가지고 있네요.
프로 대 프로에서는 방심은 금물이죠.
위기상황에서는 화려한 콘트롤을 보여주지만 유리한 상황에서는 집중을 못하는 듯.
그래도 그런 경기를 이겨내는 이윤열 선수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수정 삭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41 [잡담] Reset. [3] Apatheia1243 02/05/24 1243
3132 kpga어제 경기가 어떻게.. [3] 포 아둔~!1386 02/05/24 1386
3129 [잡담]임요환선수..대체..왜?... [5] 제갈공명1626 02/05/24 1626
3104 겜방송사의 프로게이머에 대한 처우개선 필요 [2] 윤석배1070 02/05/23 1070
3099 희대의 라이벌 이윤열:이재훈 과거의 임요환:임성춘을 보는듯 [8] Legend3317 02/05/23 3317
3095 [kpga] 재미없는 저그VS저그 보다보니까 나다포유준위1375 02/05/22 1375
3053 게임은 이렇게 하는것이다..이재훈선수 화이팅~ [6] 제갈공명1323 02/05/20 1323
3049 3대 메이저 4개대회 8강 진출 현황 [7] 수시아1876 02/05/19 1876
3041 kpga 이재훈-홍진호 전을 이제야 보고.. [3] nowjojo1862 02/05/19 1862
3040 1.08이후 프토 vs 저그 각종 대회 전적 로템/라이벌리 [8] 자퇴생임건호1452 02/05/19 1452
3035 플토 vs 저그의 로템전 전적 [5] wook981688 02/05/18 1688
3030 2002 kpga투어 3차리그에 대한 간략 정보.. [21] Sir.Lupin1974 02/05/18 1974
3004 [분석] 어제 경기에서 드러난 플토의 문제점. [16] 목마른땅1366 02/05/17 1366
2996 kpga투어 파이널 8강 경기결과 수시아1044 02/05/17 1044
2993 이재훈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다가 절대 질수 없는 상황에서 번번이 역전패 [19] hasuchobo1507 02/05/16 1507
2991 오늘 kpga 정말 명경기였습니다. [3] nting1251 02/05/16 1251
2980 오늘 8시에는 .... [7] SoberMan1074 02/05/16 1074
2955 스투 김진태씨 기사를 보고 나서.. [19] 천승희1661 02/05/14 1661
2900 테란의 원팩더블... 과연 어떻게.... [3] [귀여운청년]1616 02/05/10 1616
2888 블레이드 스톰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13] Sir.Lupin1502 02/05/10 1502
2880 음.. kpga 패자조 4강 [9] Madjulia1399 02/05/10 1399
2846 김창선 해설위원 에게 드리고 싶은 글.. [1] 낭천1371 02/05/09 1371
2845 어느 프로게이머의 바닥이 닳은 마우스를 보고.... [13] Rokestra2261 02/05/09 22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