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11/07 17:42:50
Name acepoker
Subject 시대에 따른 전술의 변화라.....
스타를 잘하지는 못하지만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스타중계를 보면서 이런 얘기가 많습니다.
같은 종족싸움은 뻔해서 재미가 없다고....

사실 같은 종족간의 싸움은 전술이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게 일반적인 시각이었습니다.

저그전은 거의 대부분이 저글링-뮤탈싸움으로 끝납니다.
가끔 히드라-럴커가 보이기도 하지만 어쩔수 없이 히드라덴을 짓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래서 저그전은 전략싸움이라기 보다는 눈치싸움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빈집털이가 승패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는것도 늘 똑같은것 같고....

플토전은 저그전보다는 조금 다양한 편이지만 타종족과의 싸움보다는 다양하지 못합니다. 드래군-리버-옵저버 체제의 싸움이 전체 게임의 70%를 차지하는것 같습니다.
가끔 템플러계열의 유닛이 등장하기도 합니다만, 실패할 경우 패배할 가능성이 훨씬 높아지는 도박성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테란전은 요즘 종잡을수가 없더군요....
1.04때만하더라도 마치 저그전의 저글링-뮤탈처럼, 테란전에서는 탱크-레이스가 공식화됐지만, 이후 골리앗의 성능이 좋아지고 터렛의 가격이 인하되면서 대공능력이 향상되자 골리앗 중심의 경기양상으로 흘러갔습니다.

그러면서 레이스가 자취를 감추자 드랍십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골리앗 폭탄드랍이 성행했고, 이후 골리앗-탱크 드랍으로 발전했습니다.

그런데 올해부터는 벌쳐의 활용이 눈에 띠게 늘어나더군요... 벌쳐-골리앗, 또는 벌쳐-탱크죠.... 물량에 의한 자원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SCV학살이 성패를 가늠하는 요소로 등장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특히 차재욱선수인가... 아무튼 그 선수와 이윤열 선수의 경기에서 보듯 메카닉 유닛은 모두 활용되더군요.... 레이스로 갔다가 상대가 골리앗으로 전환하니까 바로 탱크-벌쳐로.... 그러니까 상대는 다시 레이스로....

아무튼 같은 종족 싸움은 테란전이 제일 재미있는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직신
03/11/07 20:40
수정 아이콘
전 갠적으로 프프전 좋아한담 탱크 자리싸움 하는것 보다 답답하지 않고
시원시원해서 좋아하져
As Jonathan
03/11/07 20:57
수정 아이콘
전 스피드한 저그대 저그전이 제일 재밌습니다^^
결국 같은 종족 싸움은 개인의 취향인 것 같습니다. 일반화 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죠, 모두의 취향이 다 다르니 말입니다.
03/11/08 09:44
수정 아이콘
전에는 테테전 하는 것은 좋아했고 보는 것은 싫어했는데. 벌쳐 등장이후부터라고나 할까.. 요새는 테테전이 상당히 재미 있어 졌습니다. 근래의 빅경기들 중에 테테전이 많죠.
acepoker
03/11/08 13:33
수정 아이콘
저그전이 재미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상황에 맞는 순간적인 판단이라든가 스피디한 부분... 즉 컨트롤을 감상하는데는 저그전이 재미있죠.. 하지만 게임 패턴이 늘 같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과연 저그전에서 히드라체제가 약할수밖에 없는가... 또는 울트라 대 울트라 싸움은 볼 수 없는걸까하는 아쉬움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75 전적정리를 한번 해볼까.....요? [15] 박아제™3350 03/11/07 3350
14774 11월 7일 듀얼토너먼트 문자중계 창 [257] 언제나6164 03/11/07 6164
14773 시대에 따른 전술의 변화라..... [4] acepoker2492 03/11/07 2492
14772 그분의 목소리... [19] 아이엠포유3524 03/11/07 3524
14771 이제 군대를 가야 하는군요. [32] 이카루스테란5467 03/11/07 5467
14770 당신은 "소리"를 지녔는가? [11] 엘케인2541 03/11/07 2541
14768 실수가 겹치면.... [1] 총알이모자라..2952 03/11/07 2952
14767 나다의 패배 = 옵저버의 저주..(?) [20] 시온5357 03/11/07 5357
14765 오늘 듀얼 선수들의 사연과 예상 [28] 초보랜덤4446 03/11/07 4446
14763 최연성 선수는 임요환 선수의 제자?? [57] intotheWWE7998 03/11/07 7998
14762 홍진호vs최연성 과연? 누가 왕좌에 오를수있을까요? [8] 이혜영4185 03/11/07 4185
14761 조셉 캠벨의 "신화의 힘" 중에 한 구절... [5] 평균율2178 03/11/07 2178
14760 [잡담]내 인생에서 가장 로맨틱했던 시간.... [18] Zard2853 03/11/07 2853
14759 이윤열 선수가 무너지면서 스타크계의 판도는? [31] 랜덤테란5224 03/11/07 5224
14758 조심스럽게 옐로우의 우승을 예감하며... [19] 드론찌개3704 03/11/07 3704
14757 [잡담]수능은 인구억제정책? [18] 겸이스퇄2829 03/11/07 2829
14756 염치 없는 글입니다. [7] 구라미남2859 03/11/07 2859
14754 [펌] 최연성선수 올해 전적 정리 [11] 맛있는빵4675 03/11/07 4675
14751 나는 그를 믿습니다. [2] 오~ 해피데이2684 03/11/07 2684
14750 임요환 선수에서 이윤열 선수로 다음은 최연성 선수? [14] 햇빛이좋아5651 03/11/06 5651
14749 강민.. 그에게서 배운 플레이 [3] eritz3639 03/11/06 3639
14748 충격이 큽니다. [5] 비류연3815 03/11/06 3815
14747 破竹之勢... [Orion]iloveoov의 새로운 도전... [24] 낭만드랍쉽5201 03/11/06 52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