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9/12 21:27:02
Name 초보랜덤
Subject 온게임넷과 MBC GAME은 진짜 극과극을 달리네요
스타 리그와 워3리그 정말 양방송사가 극과극입니다.
일단 스타리그부터 비교해보겠습니다.
현재 온게임넷 스타리그 어떻습니까
조1위 진출한 4명중 3명이 토스입니다.
나머지는 테란2 저그2이구요
그리구 강민선수도 결국 재경기에서 올라갔구요
그러나 MBC GAME 스타리그는요
프로토스 물론 완전 탈락은 아니지만
승자조 전멸입니다.
승자조에 테란4 저그4입니다.
마치 온게임넷 1차시즌이 이번 MBC GAME 2차시즌같고
온게임넷 2차시즌이 이번 MBC GAME 1차시즌같습니다.
두번째 워3리그입니다.
현재 온게임넷 워3리그
오크는 말할껏도 없구요 10강전 진행중인데요
언데드 7 휴먼 2 나엘 1 입니다.
그러나 MBC GAME 워3리그는요
8강이 가려진 오늘 나엘 4 휴먼 3 언데드 1 입니다.
정말 희한하죠
왜 워3리그나 스타리그나 왜 양대방송사의 상황이 극과극일까요?
앞으로가 정말 흥미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니스
03/09/12 21:44
수정 아이콘
부커진은 같은 시나리오를 쓰질 않죠.. 씨익.. 훗...

(농담이신거 아시죠 ^^;; )
Kim_toss
03/09/12 21:49
수정 아이콘
맵의 차이인듯..
Kim_toss
03/09/12 21:50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플토의 약진은..가을이 다가온다는 계절적 변화도 한 몫 했겠지만..
토스가 안 좋았던..비프로스트가 빠지고..토스가 상당히 좋은 패러독스가 추가된 요인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TheAlska
03/09/12 21:56
수정 아이콘
맵탓이 아무래도 크다고 봅니다. 워크리그에서도 일단 터번이 있는맵이 많다는것과 앞마당 먹기가 수월한 맵이 많죠. 언데드가 지는경기 보면 거의 스카이 휴먼에 밀리던 경기가 많았습니다.
러브민트
03/09/12 22:00
수정 아이콘
워3 팀리그가 어떻게 될지 기대되지만.. 아직 스타는 OSL이. 워3는 mbc game이 앞서는게 사실이죠. 워3 장동주의 압박은 정말 ^^ ( 현주님의 웨이브해설(?).. 죽여줬습니다. 추석특집에 해설하는 모습이 나오더군요. 엽기+뷰티플의 압박^^)
03/09/12 22:14
수정 아이콘
공통점은 오크 전멸이네요.
unifelix
03/09/12 22:26
수정 아이콘
워3에서 MBC game이 앞서간다는 것은 위험발언이죠 ㅡㅡ;;;
Matsu Takako
03/09/12 22:41
수정 아이콘
대 언데전에서 극강인 이중헌 선수가 언데에게 지는걸 보면 밸런스가 오리지날때 보다 더 안좋은거 같네요
이동희
03/09/12 22:55
수정 아이콘
워3에서 MBCgame 이 ongamenet 을 클래식의 마지막에 와서는 약간 앞섰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썰렁왕(프로즌 스론을 누군가 이렇게 부르더군요 ^^) 에 와서는 양 리그가 각자의 개성을 살리고 있는 중이라 누가 앞선다고 지금은 평가 하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워3팀리그에서 서광록 해설이 다른 분으로 바뀐걸보면 온게임넷도 어떤 변화를 추구하는것 같고요, 양 리그의 경쟁으로 더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러브민트
03/09/12 22:56
수정 아이콘
왜 스타는 OSL이 앞선다에도 태클을 걸지 않으셨는지 ^^ 제 삽입니다. "앞선다고 생각합니다" ^^ 온게임넷은 해설진의 해설 수준이 약간 불안한 터라. 그걸 만회 하기 위해서 이번 팀리그에서 새로운 게이머출신 해설을 등용한것이겠구요.
unifelix
03/09/12 23:09
수정 아이콘
저도 스타는 OSL이 앞선다고 생각하거든요 ㅡㅡ;;;
사실 누가 앞선다는 것은 다른 한편에게 상처가 될 수 있기에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만 러브민트님이 그렇게 말씀하시면 저도 말하죠
스포츠신문에서 시청률조사를 보니 게임방송 중
온겜넷 워3리그는 7위 이고 프라임리그는 20위에도 못들더군요 ㅡㅡ;;;
프라임리그 시간대에 OSL을 한다고 말씀하신다면 다른 근거를 대보죠
MSl은 10위더군요
설마 워3리그인 프라임리그가 MSl보다 시청률이 앞선다고 할 수 없겠지요
한빛소프트 홈페이지인가에서 유저들에게
어떤 리그를 보냐고 묻는 질문에서도 온게임넷이 가볍게 앞서더군요

MBCgame이 안나오는 곳이 많으니까 그렇지 않느냐고 물으신다면
그건 MBCgame의 능력문제일 뿐입니다 ㅡㅡ;;;

저도 온게임넷 해설진보다는 MBCgame해설진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게임방송은 엄연한 산업이고 사람들이 보지 않으면 의미가 없죠

그런 면에서 볼 때 온게임넷이 워3리그에서도 앞서있다고 봅니다
i_random
03/09/12 23:30
수정 아이콘
전 해설을 많이 보지는 않았지만 서광록 해설이 능력이 부족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른 해설자분들에 비해서 인지도가 낮다는 것이 온게임넷에는 흠이 되겠죠.
엄재경님 해설이나 김도형님 해설이 좋아서라도 mbc 게임보다 온게임넷을 보시는 분들도 분명히 존재하는 거랑 같은 이치라고 할까요??
사고뭉치
03/09/12 23:30
수정 아이콘
글쎄요. 시청률을 근거로 말씀하신다면야.. 별로 할말이 없습니다만,
스타리그의 기반이 온게임넷쪽에서 먼저 잡혔다면, 워3는 MBC게임쪽에서 먼저 잡혔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미세한 차이를 떠나서는 양대 방송사가 각각 개성을 갖고 리그를 운영해 나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누가 누가에게 앞서 있다라고 말하는 것은 저처럼 각 리그를 모두 즐기는 사람한테는 조금 아니다 싶네요.
03/09/12 23:39
수정 아이콘
해설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 먼저 서광록 해설위원 같은 경우는.. 같이 어렌지도 해보고 머 연습게임도 해보고 해봤는데.. 정말 열씸히 노력하시고 게임을 고수로 불릴만큼 잘하시는건 아니지만 게임에 대한 이해도 측면에서는 상당히 뛰어나다고 생각되던데요.. 제가 스톰님과 게임에서 지기라도 하면 제 패인이 머고.. 그럴때 어떻게 해야되고 .. 이런 지적이 깜짝 놀랄 만큼 정확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항상 게임하다가도 일하러 간다면서 배넷을 나가버린다든가.. 그리고 선수들한테 사전정보도 잘 캐묻더라는(?).. 스톰씨에 대한 이야기는 이쯤에서 그만하고 (쿨럭;;)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mbc게임 워3리그가 온게임넷 워3리그 보다 조금더 앞서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엠비시게임 같은 경우는 예전부터 참신한 시도들이 참 많았습니다.. 가령 영웅들의 레벨표시라든가.. 자체제작 맵 등 .. 이런 참신한 시도들이 자주보였죠.. 그래서 엠비씨 게임이 온게임넷에 비해서 훨씬 앞선다고 생각해왔지만.. 요즘 온게임넷도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더군요.. 영웅의 스킬표시라든가... 프로리그의 출범등으로 온게임넷이 격차를 상당히 많이 따라잡았다고 생각합니다..
러브민트
03/09/12 23:44
수정 아이콘
가장 기대되는 워3 팀리그에서의 경기들은 2:2팀플입니다. 예전 인텔배 팀플최강전 생방 아닌걸 알면서도 본방을 꼬박꼬박 챙겨봤었죠. 1:1보다 훨씬 재미있다.. 라고 생각했었습니다만. 이번에 mbc CTB에선 여전히 예전의 스타일을 고수할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2:2팀플을 볼수있는곳이 온게임넷하나로 고정되어 버렸습니다 ^^
03/09/13 00:43
수정 아이콘
워3는 아무래도 온겜넷에서는 나엘들이 다 언데한테 잡힌 반면에 엠비씨게임에서는 나엘이 휴먼잡고 휴먼이 언데를 잡는 식으로 된 듯합니다.
매너중시
03/09/13 01:41
수정 아이콘
보고 즐기는 워크3는 엠겜이 한수위! 보고 배우는 워크3는 온겜넷이 한수위!...(뭐 그렇다고 엠겜워크리그에서 배울게 없다는건 아니고 온겜넷이 재미없다는게 아닙니다...-_-;)
길버그
03/09/13 03:29
수정 아이콘
전부잼있어요-_-;
03/09/13 11:04
수정 아이콘
부디 패자조에서 플토들이 살아남길 바랍니다 ㅠ_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560 한국 프로게임계의 2막 1장 프리미어 리그. [6] clonrainbow2967 03/10/02 2967
13509 2주차까지 나온 mbc game game tv 프리미어리그 일정입니다. [5] 초보랜덤2263 03/09/30 2263
13323 [프리뷰]마이큐브 스타리그 8강 2주차 [12] Daviforever2085 03/09/26 2085
13318 KT-KTF 양대 리그제에 대한 몇가지 생각 [47] unifelix3261 03/09/26 3261
13257 [잡담]3개 방송국 스타크래프트 본선 통합랭킹 [32] Altair~★4103 03/09/24 4103
13133 새벽 3시에...... [25] 공룡1893 03/09/21 1893
13043 [잡담] to. kOs [17] 낭만드랍쉽3358 03/09/18 3358
12896 과연 최고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팀은? [68] 다크고스트5127 03/09/13 5127
12859 온게임넷과 MBC GAME은 진짜 극과극을 달리네요 [19] 초보랜덤4269 03/09/12 4269
12797 수원방송과 MBC GAME이 공동주최하는 스타크 올스타전예고입니다.(KTF VS 슈마GO, 양대메이저리그 결승전의 복수전양상) [26] 초보랜덤3285 03/09/09 3285
12684 마이큐브배 온게임넷과 임요환 [176] 투덜이스머프6861 03/09/06 6861
12621 각 방송사들 해설자분들에 대한 생각 [46] 이재호3639 03/09/04 3639
12572 5분거리의 두 방송사 [28] Ace of Base4366 03/09/02 4366
12527 mbc게임 스타리그가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 [46] 유재범4642 03/08/31 4642
12165 나의 사촌형 낭천!이제 시작이다. [10] 요환짱이다2462 03/08/20 2462
12148 Nada, 새로운 시작 [31] unifelix2831 03/08/20 2831
12131 NaDa를 좋아하는 한 Fan의 넋두리. [84] 탱크교향곡4220 03/08/19 4220
12085 차세대 스타크래프트 게임산업의 아이콘은 누구? [57] unifelix3428 03/08/18 3428
12081 강민선수 그러고 보니.. [27] 알바생3025 03/08/18 3025
11863 [잡담] 양대방송사 왕중왕들이 벌이는 통합전을 주최하면 어떨까요? [34] 초보랜덤2432 03/08/13 2432
11807 MBC게임 스타리그의 시도들 [20] 용살해자3367 03/08/12 3367
11743 달려라 Orc~! [17] atsuki2087 03/08/10 2087
11696 황제의 부활은 실력이 아닌 우승 [9] 전역스타리안3337 03/08/09 33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