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9/09 19:36:06
Name 초보랜덤
Subject 수원방송과 MBC GAME이 공동주최하는 스타크 올스타전예고입니다.(KTF VS 슈마GO, 양대메이저리그 결승전의 복수전양상)
수원방송과 함께하는 " 스타크래프트 올스타전 " 풍성한 계절 가을을 맞이하여 MBC게임과 수원방송이 함께하는 스타크래프트 올스타전

영원한 지존 토네이도 테란 " 이윤열 "
폭풍저그 " 홍진호 "
신흥세력 퍼펙트 테란 " 서지훈 "
프로토스의 희망 날라토스 " 강 민 "

최강의 스타크래프트 4인의 전사들과 함께 팬 사인회, 팀플전, 개인전등 다채로운 이번 행사에 시청자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장소 : 수원 청소년 문화센터 내 " 꿈의 체육관 "
일시 : 2003. 9. 21 (일) 15:00 팬 사인회 15:30 올스타전 (팀플/개인전)

프로게이머 : 이윤열, 홍진호, 서지훈, 강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9'Eagle
03/09/09 19:46
수정 아이콘
엠비시게임은 항상 임요환 선수를 빼는군요 ㅠ_ㅠ;(저번에도, 강도경/홍진호/서지훈/강 민 선수였죠;) 물론 그럴 만한 사정이야 있겠지만 그냥 조금 아쉬워서..;
프토 of 낭만
03/09/09 19:49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지난 4대천왕전 처럼 소속사 문제일 것 같은데요..
ChRh열혈팬
03/09/09 19:51
수정 아이콘
어엇..! 이거 방송타나요?-_-;
박정석테란김
03/09/09 19:53
수정 아이콘
쓸데없는 딴지인지 모르겠지만 엠겜.. 올해만 벌써 몇번째 올스타전인지--;;; 전주 올스타전(베르트랑/기욤/장진남/장진수선수). 그리고 어딘지 모르겠지만 (이윤열/강민/박정석/홍진호(원래는 임요환선수와 강도경선수가 나오기로 했었는데 이 두선수의 사정으로 바뀌었다고 했는데 누가 바뀌었는지 모르겠군요--;;)선수. 그리고 최근에 김해 올스타전의 강도경/서지훈/강민/홍진호선수. 그리고 올스타전은 아니지만 올해 초 4대 천왕전까지(임요환/이윤열/홍진호/박정석선수.)..

지방 팬들에게는 좋은 소식이겠지만 저로써는 그리 좋게 보이진 않군요.
러블리제로스
03/09/09 20:04
수정 아이콘
전 이벤트전을 중계해주는게 고마울 뿐인걸요....
그랜드슬램
03/09/09 20:05
수정 아이콘
엠비씨게임이 좋은점이 이런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방 방송을 많이 해주죠..^.^ 박정석테란김정민님의 글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항즐이
03/09/09 20:05
수정 아이콘
전 게이머들의 수입 증대라는 측면으로 봐도 방송사의 이벤트전 섭외는 아주 좋다고 봅니다.

게이머 협의회와 협의된 사항중의 하나죠. 방송국 이벤트전 섭외. ^^ 지방 방송국이 있는 엠겜의 유리한 점이니 크게 살려야 겠습니다. ^^
03/09/09 20:08
수정 아이콘
상금도 제법 액수가 되고, 지방팬들도 게이머들의 실물을 보면서 사인도 받을 수 있고, TV로 유명선수들의 경기를 볼 수도 있다. 저는 거의 다 마음에 듭니다.
선풍기저그
03/09/09 20:12
수정 아이콘
네..맞는말씀.. 지방에서 이벤트전하는것.. 지방팬들에게는 아주 반가운일이죠.. 세중이나 메가웹에 쉽게 가지 못하는 지방팬들은..
스타프로게이머들을 직접 볼기회란 지방 이벤트밖에 없죠..싸인회도 곁들이니.. 더욱조쵸!~
지방순회 이벤트전..매달 해주었으면 좋겠어요..
프리다 칼로
03/09/09 20:18
수정 아이콘
게이머들의 수입 증대? 글쎄요..맨날 보던 선수들만 보는데 그건 선수들간의 수입증대도 있지만, 빈익빈 부익부현상을 가속시키는 일 아닌가요? 실력있고,인기있는 선수들 부르는게 지방방송에나 엠비씨겜에 도움되는 일이겠지만.. 좀 아쉽습니다.
프리다 칼로
03/09/09 20:21
수정 아이콘
아차..말 실수했네요. '실력있'는 선수가 저 선수들만을 의미하는건 아니라는거..아시죠? ^^;;; 제 말은 요새 잘나가는(성적 좋은)선수들을 말했는데..어째 잘못 이해하면 큰일날 말을 해 버렸네요.-_-;;
항즐이
03/09/09 20:21
수정 아이콘
빈익빈 부익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위 이벤트에 등장하는 선수들도 그다지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지 않거든요.

게임계전체의 파이를 키우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적어도 "뜬"선수들은 배곯는 일이 없어야 다른 선수들도 희망을 갖지 않을까요? -_-a
03/09/09 20:27
수정 아이콘
[선수들로서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닥칠 때가 가장 힘들기 때문에 선수들의 생활보장만큼은 책임질 수 있는 감독이고 싶다] - 이대니얼

가장 대우좋다고 알려진 AMD매니저님의 희망치고는 소박해보입니다. 항즐이님의 말이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항즐이
03/09/09 20:30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가장 선수들이 넉넉하다는 AMD팀이 그렇다는 것은-_-
뜻모를헛소리
03/09/09 21:00
수정 아이콘
뭐든지 열어야 좋은겁니다. 하여튼 대회가 있어야 됩니다.
실비아스
03/09/09 21:44
수정 아이콘
음....그런데 수원이 지방인가요-_-; (뜻모를 엉뚱한 태클;) 항즐이님은 문자중계하랴 여기 들어오랴 바쁘십니다^^(윽..성학승ㅜ.ㅜ)
충남지역으로 이벤트전 좀 왔으면 좋겠습니다. 아, 그리고 대학축제때(가을에 축제하는 학교도 있죠) 학교와 연합해서 이벤트를 하는 것도 꽤 괜찮을듯 한데요..^^
neogeese
03/09/09 21:48
수정 아이콘
제가 수원 사는데 지방이란 생각이 많이 들곤 하죠..^^:
실비아스
03/09/09 22:40
수정 아이콘
neogeese님// 다른지역(예를 들어 충청이나 전라도;) 경기도지역은 그냥 수도권으로 보입니다. (적어도 저는;)
피투니
03/09/09 23:36
수정 아이콘
서울 외의 지역 이라는 점에서 지방 이라는 단어를 사용한거겠죠..; // 저도 수원 옆ㅇㅔ; 사는데 놀러 가볼..^^;;
안전제일
03/09/09 23:39
수정 아이콘
이래저래 많으면 좋습니다만.
선수들의 피로도 가중이라는 점에서는 조금 여러 선수들이 나눠했으면 합니다.^^;;
피팝현보
03/09/09 23:41
수정 아이콘
수원에 있는 학교 다니는 학생인데요. 똑같은 학교임에도 캠퍼스라 놀림받고 축제때 연예인은 지방수당도 받는다고 하네요. 주변에 깔린것은 논밭이고.. ;ㅅ;
neogeese
03/09/09 23:44
수정 아이콘
피팝현보님 어느 학교 다니시는지 짐작이 가네요..^^:
수시아
03/09/10 00:03
수정 아이콘
이벤트전에 관한 의견이 갈리는군요.
'이벤트전에 관한 의견'이란 제목 정도로 해서 토론 게시판으로 이동 추천.
Kim_toss
03/09/10 01:06
수정 아이콘
이벤트전의 성격성..인기선수들이 중복출연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프리다 칼로
03/09/10 01:09
수정 아이콘
보는 입장으로서 같은 선수들이 올스타전에서 자주 보이는 것은 별로 좋아 보이지 않네요. 올스타전이래놓고 경기 치루는 선수들은 너무 적은거 아닙니까. 그렇다고 선수들 많이 불러놓고 해라..이런 뜻은 아닙니다. 명색이 올스타전인데 박경락선수나, 임요환 선수들도 보고 싶단 말이죠..
다른 게이머분들의 스케줄상 어쩔수 없는 형편인지 어쩐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엠비씨겜에서 지방투어(?)를 자주 하는건 솔직히 아주 반갑죠. 고맙구요. 하지만 다 마음에 들진 않죠..
보는 사람으로써 작은(?) 불만이라 생각해 주세요.
03/09/10 13:57
수정 아이콘
저도 이런 이벤트 경기 대환영입니다. 다른 선수들도 보고싶으신 마음 이해하지만 현재 최고 인기와 성적을 내고있는 선수를 부르다 보면 중복될수도 있는거 아닐까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560 한국 프로게임계의 2막 1장 프리미어 리그. [6] clonrainbow2968 03/10/02 2968
13509 2주차까지 나온 mbc game game tv 프리미어리그 일정입니다. [5] 초보랜덤2263 03/09/30 2263
13323 [프리뷰]마이큐브 스타리그 8강 2주차 [12] Daviforever2085 03/09/26 2085
13318 KT-KTF 양대 리그제에 대한 몇가지 생각 [47] unifelix3262 03/09/26 3262
13257 [잡담]3개 방송국 스타크래프트 본선 통합랭킹 [32] Altair~★4104 03/09/24 4104
13133 새벽 3시에...... [25] 공룡1894 03/09/21 1894
13043 [잡담] to. kOs [17] 낭만드랍쉽3358 03/09/18 3358
12896 과연 최고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팀은? [68] 다크고스트5127 03/09/13 5127
12859 온게임넷과 MBC GAME은 진짜 극과극을 달리네요 [19] 초보랜덤4270 03/09/12 4270
12797 수원방송과 MBC GAME이 공동주최하는 스타크 올스타전예고입니다.(KTF VS 슈마GO, 양대메이저리그 결승전의 복수전양상) [26] 초보랜덤3285 03/09/09 3285
12684 마이큐브배 온게임넷과 임요환 [176] 투덜이스머프6862 03/09/06 6862
12621 각 방송사들 해설자분들에 대한 생각 [46] 이재호3639 03/09/04 3639
12572 5분거리의 두 방송사 [28] Ace of Base4366 03/09/02 4366
12527 mbc게임 스타리그가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 [46] 유재범4643 03/08/31 4643
12165 나의 사촌형 낭천!이제 시작이다. [10] 요환짱이다2462 03/08/20 2462
12148 Nada, 새로운 시작 [31] unifelix2831 03/08/20 2831
12131 NaDa를 좋아하는 한 Fan의 넋두리. [84] 탱크교향곡4220 03/08/19 4220
12085 차세대 스타크래프트 게임산업의 아이콘은 누구? [57] unifelix3428 03/08/18 3428
12081 강민선수 그러고 보니.. [27] 알바생3025 03/08/18 3025
11863 [잡담] 양대방송사 왕중왕들이 벌이는 통합전을 주최하면 어떨까요? [34] 초보랜덤2433 03/08/13 2433
11807 MBC게임 스타리그의 시도들 [20] 용살해자3367 03/08/12 3367
11743 달려라 Orc~! [17] atsuki2087 03/08/10 2087
11696 황제의 부활은 실력이 아닌 우승 [9] 전역스타리안3337 03/08/09 33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