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8/03 16:03:06
Name Godvoice
Subject 임요환 VS 박정석 경기 재방송을 보고. 임선수의 타이밍.
철저히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박정석 선수의 다크템플러 드랍이 왔을 때 임요환 선수가 쉽사리 못 나갔던 건 스캔이 충분하지 못해서가 아닐까 합니다. 경기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다크 드랍이 오기 직전에 스캔이 완성되었고, 아무리 투스캔이라고 해도 4다크 드랍을 스캔만으로 막을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렇다고 무시하자니 4다크의 화력에 서플 녹는 건 순식간이니까요. 그래서 임요환 선수는 터렛을 본진에 두르는 시간까지 병력을 진출시키지 못했고, 셔틀을 격추시킨 터렛 완성 직전에는 다수의 탱크를 본진으로 올려보내기까지 합니다. 아마 다크가 셔틀에서 내릴 것을 예상해서 확실히 잡아내기 위해서였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임선수가 셔틀을 잡아내자마자 바로 진출하는데, 아마 이 부분에서도 임선수는 스캔을 활용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스캔 마나도 얼마 없는 상황에서 다크템플러에 스캔을 썼으니, 상대 병력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스캔이 이루어지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구요. 막판 임요환 선수의 개인화면을 보니 박정석 선수 본진은 완전 검은색이더군요. 그만큼 스캔을 제대로 활용할 기회를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는데요...

그냥 제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반론 마음껏 달아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토르-라디
03/08/03 16:14
수정 아이콘
그때 다크드랍이 일꾼이나 서플을 깨는 등의 "눈에 보이는 성과"는 없었더라도 엄재경 해설위원의 말씀처럼 임선수에게 컨트롤할 일거리를 안겨 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효과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터렛 짓고 벌쳐들이 셔틀따라 끊임없이 돌아다니자 "그렇다고 너무 저기 휩쓸리면 안되죠" 라고 하셨었죠-_- 다크 드랍이란 역시 Godvoice님께서 말씀하신 스캔의 압박과 더불어 실질적 피해에 앞서 상당한 심리적 공격이 되는 것 같군요.
박경태
03/08/03 16:27
수정 아이콘
다크 드랍은 셔틀을 잡아 줄 수 없는 유닛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 질 경우 상당한 부담이 되던데요..^^
더블 커맨드 하는데 상대방이 맘먹고 다크드랍을 하면 상당히 괴로워 집니다..-_-;
멀티쪽과 본진을 다 방어 할 수 있는 병력이 많지 않기 떄문입니다.
또한 터렛을 강제 어택해버리면 그 타이밍에 스캔까지 건설하기에는 너무 부담되구요...터렛 탱크 벌쳐로 막아야 하는데 상당히 힘들더군요.
아카데미를 짓자니 병력이 울고 터렛만 짓자니 다크가 웃고-_-
03/08/03 16:48
수정 아이콘
다크드랍-셔틀결추-임요환선수 진출..이타이밍에 잠깐 임요환 선수 멀티를 비춰줬는데 SCV가 상당히 적었던것 같습니다. 기억나시는 분들 확인해 주세요.
코코둘라
03/08/03 18:14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 SCV 뽑는 것도 꾸준히 못해주었고, 간간히 SCV가 멀뚱멀뚱 쉬는 모습이 발견되었습니다. 게다가 다크드랍과 리버드랍의 완벽한 실패로 승기를 휘어잡았으나, 조이기의 단단함을 갖추지 못해 패하고 말았지요. 사실, 달려들었을 때 터렛이 있고, 마인이 있고, 그 후에 추가되는 벌탱으로 조금씩 조여나갔더라도 앞마당 포격까지는 1~2분이 채 걸리지 않았을 것입니다. 성급한 러쉬가 임요환 선수의 가장 큰 패인인 듯 싶네요. 그만큼의 탱크라면 드라군 질럿 한두부대 정도는 녹아버리고도 남았었죠.
SummiT[RevivaL]
03/08/03 18:33
수정 아이콘
거기다가 임요환선수는 터렛짓고, 벌쳐컨트롤에 바빴지만, 박정석선수는 다크컨트롤 해가면서 병력들을 찍어줬다는게 젤로 중요한 점이겠죠...임요환선수는 병력을 안 찍어내고 있었을거구요
03/08/03 21:11
수정 아이콘
터렛지고 벌처컨트롤 한다고 병력을 안찍다뇨-_- 그럴수는 없다고 보는데요..교전상황도 아니고..ㅡㅡ
03/08/03 21:44
수정 아이콘
음...차라리 전략으로 승부하지 왜 물량전을... 투수도 가장 자신있는 공하나는 가지고 있어야 잘나갑니다 임요환의 베스트볼은 전략인데 왜...
03/08/03 22:51
수정 아이콘
제가 본 바로는..역시 임선수가 정찰이 미비해서..박선수가 몇 기 보여준 드라군만을 생각하고 나갔던 것이 아닌지 싶네요. 저도 그렇게 많은 질럿들이 달려들 줄은 몰랐고 깜짝 놀랐거든요.
해설위원들도 두 선수 모두 너무 정찰이 늦다고 걱정했는데말이죠.
03/08/03 23:00
수정 아이콘
다크에 신경이쓰이느라고 서플을 꾸준히 만들지못하고 물량을 뽑지못한것이 실수라고 생각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공지] 몇가지 변동 사항입니다. [11] homy 03/09/09 40792
공지 채널에 관한 공지입니다. [23] homy 02/10/08 39108
15604 테란과 프로토스를 1가지씩만 수정하면 어떨까요? [2] 하드코어질럿45957 03/12/19 45957
15601 To. 정수영감독님께... 다크고스트45706 03/12/07 45706
15600 123! Means37404 03/12/07 37404
15599 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 포스트시즌 정리 [4] Altair~★35463 03/12/06 35463
15597 AMD선수와 KTF감독님의 글에 대해서... [8] JJuniE42271 03/12/06 42271
15595 [장진수]안녕하세요 [113] 장진수56776 03/12/06 56776
15594 박정석 선수와 박상익 선수의 프리미어리그 판정패 관련 글입니다. [31] 졸린눈42983 03/12/06 42983
15593 연리지(連理枝) 이야기 [1] 총알이모자라..33616 03/12/06 33616
15592 [잡담] 누가 조종 하는것 같아요. [3] 햇빛이좋아37774 03/12/06 37774
15591 물량의 비밀? [13] 마술사40294 03/12/06 40294
15590 [농] 남자이야기 & 흘러가는 잡담 [4] 용살해자35813 03/12/06 35813
15589 3인 중계방송에 대한 생각..... [9] 청개구리35582 03/12/06 35582
15586 [문자중계]KT Megapass Nespot 프리미어 리그 10주차 [227] DoL41412 03/12/06 41412
15585 pgr21 처음 쓰는 글 [1] 토스황제성춘33033 03/12/06 33033
15584 [글자중계]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280] Ace of Base37504 03/12/06 37504
15583 pgr 게시판이... [13] 로또리버33292 03/12/06 33292
15582 [잡담]내가 생각하는 올한해 명경기 best 5 [49] kmimi00038739 03/12/06 38739
15580 그냥. 이윤열 선수. [2] 미리내34930 03/12/06 34930
15579 이재훈 선수가 꿈에 나왔습니다-_- [15] 이카루스테란34645 03/12/06 34645
15578 술이 들어가니 불효자도 어머니 생각... 오크히어로36791 03/12/06 36791
15576 너무 빨리 하는 OSL 8강 진출자 예상-_-v [39] 지붕위100460553 03/12/06 605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