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02 20:58:47
Name 빼사스
Subject [일반] 에너지를 해소 못 하면 그건 업이 됩니다.
에너지라는 게 있습니다. 작용과 반작용입니다.
윤석열에 반대하는 에너지가 응축되어 터진 게 지난 총선입니다.
그런데 그 총선에서 해결되었어야 할 에너지가 다시 응축되었습니다.
거부권 크리에 결정적인 계엄이 큰 역할을 했지요.
이는 광장으로 뻗어갔습니다.
그러면서 스노우볼처럼 에너지는 더 거대하고 커졌습니다.
이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면 적립되고 고착화됩니다.
현재 사법부의 노골적 정치 개입은 이 소비해야 할 에너지를 더 묶어두는 역할을 합니다.
만일 이 상태에서 정말 일부 우려처럼 대법이 절차를 지금보다 더 무시해서
상고이유서 20일조차 주지 않고 바로 기각해 버림으로써 강제로 국민의 투표권을 박탈해 버린다면
그 에너지는 어마어마한 한으로 남을 거라 봅니다.
전 <서울의 봄> 영화에 대한 씨네21 평가 중 박평식 평론가의 말이 정말 기가막히다고 생각했습니다.

'권력이 영원할 줄 아는 사악한 바보들에게'

만일 이 에너지가 해소되지 못하고 결국 고착화된다면 결국 터져버리게 될 때 뒷감당은 누가 할 수 있을까요.
더군다나 40-50대가 이 핵심에 있습니다. 이미 구세대는 빠르게 사라져가고 있고, 더 어린 세대는 수도 적고
갈라져 있습니다. 결국 민주당 지지 세력이 절대 다수가 되었을 때 무엇에 단죄를 내릴까요?
권력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당장에 급한 불을 끄겠다고 언발에 오줌 누다시피 내란 세력과 결탁하고
허수아비 내세워 다시 재집권을 하고 엘리트 권력을 지키겠다는 망상은 반드시 해체될 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ruithne
25/05/02 21:10
수정 아이콘
법원이 배째라고 나오면 배를 째드려야죠.
솜니움
25/05/02 21:15
수정 아이콘
진짜 업은 수건의 재판 껀수를 준 이 대표의 과거 행실 아닐까요.
빼사스
25/05/02 21:30
수정 아이콘
에너지에 대한 이야기지요. 이재명의 업은 윤석열이라는 괴수를 만들어내며 소비가 되고 본인이 어느 정도 많이 털었죠. 그 결과가 최근 비호감도 지수가 과거보다 확 내려가서 가장 낮은 비호감도인 걸로 보입니다.
人在江湖身不由己
25/05/02 21:41
수정 아이콘
반대쪽 에너지에 한 표 주시면 됩니다?
호리호리
25/05/02 21:42
수정 아이콘
이재명의 업이 인혁당사건보다 크고 김재규 사건보다 급하게 진행되어야할정도의 중요한일인지 처음 알았네요
25/05/02 21:43
수정 아이콘
응 다음 계엄~
cruithne
25/05/02 21:43
수정 아이콘
본문 안읽으셨죠?
답이머얌
25/05/02 23:24
수정 아이콘
글을 제대로 읽은 겁니까?
25/05/02 21:41
수정 아이콘
정치인 이재명의 약점은 스토리 텔링이라고 봤는데
윤석열의 무리수가 이래저래 서사를 부여해버렸죠.
서로가 서로에게 아치에너미가 아닌가 싶습니다
Jedi Woon
25/05/02 22:16
수정 아이콘
스토리텔링으로는 김대중 다음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윤석열로 인해 그 서사가 완성되가는 느낌?
라라 안티포바
25/05/02 21:54
수정 아이콘
비슷한 논리로, 그동안 보수에서 편히 정치했던 반작용이 돌아오는거죠.
그럼에도 아직까지 기득권이니까 정치적 우위를 잃었음에도 저항이 거센거구요.
손꾸랔
25/05/02 22:27
수정 아이콘
아닌게 아니라 밑에 올라온 글과 기사들 읽다보니
<세계는 지금>에서 단골 소재로 올라와 혀를 차면서 구경하던 중남미 등의 선거불복 아수라장과 지옥도가 2025년의 대한민국에서 펼쳐지는 미래까지 떠올라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아무쪼록 판사들이 민주주의라는 큰 물결 앞에서 겸허한 자세를 가다듬고 자신이 쥔 칼이 어디서 난건지 진지하게 성찰해보길 바랍니다.
마술의 결백증명
25/05/02 23:11
수정 아이콘
예전에 자게에서 보았던 글중에 인상적인게 박정희의 유산과 노무현의 유산이 모두 명을 다하면서 앞으로의 대한민국 정치는 어떤 특정인의 그림자 속에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전장이 될 거라는 내용이 있었지요
그림자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과 맞닿은 합리성과 정책들의 각축적이 될수도 있겠다는 전망이었는데 이게 웬걸..
항상 시대는 새로운 신화와 영웅들을 창조해냅니다. 빈 의자는 견디질 못하는것 같아요

아무 존재감 없던 윤석열을 극성지지하는 사람들이 갑자기 떼거지로 나타나더니 이제는 이재명을 같은 위치로 격상시켜주네요
뭐랄까 상황 자체가 이재명을 결사수호할수밖에 없도록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빼사스
25/05/02 23:28
수정 아이콘
저도 어떤 의미에선 이게 참 속상합니다. 저 역시 손가혁 사건 때문에 이재명을 탐탁지 않게 보던 사람이었지만, 지난 서사들이 결국 이재명을 지지하게 만드니까요. 그리고 이재명 본인도 이 악순환을 끊겠다는 의지도 있어 보이는데, 과연 가능할지 아니면 흑화해서 더 강렬한 귀신이 될지 모르겠네요. 어쨌든 과거의 유산들은 이제 그만 역사에 묻고 새 시대로 가고 싶은 마음이 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071 [일반] 주말드라마보다 더 재밌는 이재명 회의영상(개취주의) [49] 하늘하늘9390 25/06/13 9390
7070 [일반] 3대 특검이 임명되었습니다 [27] 물러나라Y8365 25/06/13 8365
7069 [일반] 선게 종료 예정 공지 [21] jjohny=쿠마5282 25/06/12 5282
7068 [일반] [NBS] 李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 53% 부정평가 19% [35] 철판닭갈비9397 25/06/12 9397
7067 [일반] 민주, 검찰개혁법안 발의…검찰청 폐지하고 공소청·중수청 신설 [134] 철판닭갈비15156 25/06/11 15156
7066 [일반] 이재명의 지방 균형 발전에 대한 이야기 [24] 오컬트7046 25/06/11 7046
7065 [일반] 이재명 : 남성들이 불만을 가진 이슈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느냐 [113] 전기쥐11893 25/06/10 11893
7064 [일반] 상법개정 연기 (본회의 연기) [25] DpnI6173 25/06/10 6173
7063 [일반] 다시 만난 세계 (팀 평화 제작) 외 [8] Janzisuka3652 25/06/10 3652
7062 [일반] 쇼츠 넘기다가 눈물 나는 영상이 있길래 공유해봅니다.(feat. 이재명) [43] 하늘하늘7566 25/06/10 7566
7060 [일반] 문 정부 때 그짓거리가 다시 시작 되는 군요.... [174] 아이군15206 25/06/09 15206
7058 [일반] 李 대통령 선거법 파기환송심 사실상 무기한 연기…고법 “헌법 제84조 따라 기일 추후지정” [95] 전기쥐11978 25/06/09 11978
7057 [일반] 국민주권정부가 아닌 일하는 정부가 되어야 합니다. [83] 금적신8837 25/06/09 8837
7056 [일반] '20대 보수화'와 '40대 진보화'에 대한 하나의 분석과 의견 [133] 김재규장군의결단9307 25/06/08 9307
7055 [일반] 이재명 대통령의 인스타 사진과... [21] 빼사스7356 25/06/08 7356
7054 [일반] 대통령실에서 재미있는 기획이 나왔군요. (언론관련) [52] Morning9876 25/06/08 9876
7053 [일반] 이번 대통령 선거, 사필귀정의 선거 [21] 이그나티우스5325 25/06/08 5325
7052 [일반] 최근 이재명 정부의 외교 관련 이슈와 그에 대한 반응들 [100] 사조참치15425 25/06/07 15425
7051 [일반] 다음 지선은 어떻게 될까요? [87] 라라 안티포바11522 25/06/06 11522
7050 [일반] “반공 계엄이 불법이라니요?” – 권위주의적 믿음은 어떻게 탄생하나 [85] 삭제됨7760 25/06/06 7760
7049 [일반] 이시바, 대선 전 이재명에 "갈등 원치 않아, 대화 의지 있다" 메시지 전달 [26] 전기쥐7467 25/06/06 7467
7048 [일반] 21대 대선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모음 [15] style4032 25/06/06 4032
7047 [일반] 깜깜이 기간 여론을 알 수 있는 갤럽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41] 전기쥐7540 25/06/06 75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