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8/14 02:11:50
Name 두번의 가을
Subject 당신이 알고 있는 정말 인상깊은 전략 or 빌드는 어떤것이 있나요?
아직도 모든 전략을 그리고 빌드를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또 새로운 전략과 타이밍이 존재하는 스타...

저는 개인적으로 여러 전략들과 빌드들이 다 멋지다고 생각하지만 그중에서도...

2가지가 정말 이런 전략 빌드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하고 생각이 드는 것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건담테란...

그 전략을 보고 한동안 친구와 저게 가능한가를 놓고 둘이서 서로 테란과 플토를 하면서...

연구를 했는데 4마린 2벌쳐 1탱크가 진출하는 타이밍의 그 위풍당당함은 정말 멋지더군요...

물론 이후의 벌쳐 컨트롤과 압박이 중요한 전략이긴하지만...

친구와 그 타이밍에 테란병력과 비교한 플토병력을 보고 깜짝놀라면서 한동안 그것만 썻던 기억이 나네요^^

그리고 이전략을 만들어냈던 조정현선수...

존경합니다 (__)

두번째는 노블토스(?)...

토스 전략은 이름들이 너무 많아서 어떤것이라고 꼭 이름을 붙이긴 좀 그렇지만...

혹시나 이전략을 안써보신분이라면 꼭 써보시길 권장하는^^

pgr전략게시판에서 노블토스를 치면 나올것입니다...

스타크를 그나마 오래했던 저에게 원게이트 플레이의 새로운 개념을 심어준 전략이였습니다...

스타게이트로 히드라를 강제한뒤 다템으로 견제한후에 캐논 3기와 템플러를 빨리가면서 앞마당을 빨리먹고...

여러모로 빌드를 익히는데는 힘들었지만 상대에 따른 대처가 좋은 전략아니였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아직도 저그를 상대하는 저의 플토 빌드중에 자신있게 내밀수 있는 빌드중 하나 입니다^^

물론 이 전략의 단점은 고수급 저그유저일경우에는 히럴 조이기가 무섭긴하지만 ^^

학교대회에서 정말 고수 저그 한때 온겜넷에도 나왔던 저그유저를 상대로 이빌드를 썻다가...

히럴조이기 당하고 난감하긴했지만...

정말 즐거운 전략입니다 ^^


여러분이 알고 계신 자신의 여러빌드중에 자리를 잡고 있는 멋진전략이나 빌드는 어떤것들이 있는지요...

궁금합니다^^

물론 최근의 불독토스도 정말 멋진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3/08/14 02:43
수정 아이콘
처음 배웠던 '무한드래군'이 아직도 기억에 남네요.. ^^
i_love_medic
03/08/14 03:00
수정 아이콘
저그유저라 그런지...조용호선수가 유행시킨...울링체제가 상당히 와닿았습니다^^ 울트라의 막강함을 그전까지 몰랐다니...ㅜ.ㅜ
허유석
03/08/14 06:12
수정 아이콘
저는 GAME-Q시절 임요환선수가 임정호, 국기봉선수를 상대로 쓴 초패스트 드롭쉽빌드와 김정민선수가 쓴 베슬 패스트 빌드가 와닿았습니다. 베슬패스트는 정말 엄청난 타이밍 재는 기술을 필요로 하더군요.
허유석
03/08/14 06:13
수정 아이콘
참고로 모두 GAME-Q 시절입니다. 요즘에는 잘 쓰이지 않는 빌드이죠
Naraboyz
03/08/14 06:40
수정 아이콘
전 박용욱선수가 성학승선수에게 보여준 itv에서 보여준 8시언덕 밑 게이트가 기억에남는군요..(대저그전에서 8시걸리면 더블넥이나 이것만쓴다는..ㅡㅡ)처음볼땐 쇼맨쉽인가..헀지만 경기를 이겼을땐 좋은전략이란걸 알았죠-_-
선풍기저그
03/08/14 07:24
수정 아이콘
씨유앳배틀넷에서 보았던 한 시청자분의 대테란전 몰래뮤탈...
히드라1기만 보여주고.. 나 럴커간다..해노코..
구석진데서 무탈모아서 본진급습.. 김정민선수 꽤 당황했었죠...
그거보고 저두 그전술 자주 씁니다.. 주로 3해처리필때.. 잘먹히더군요
하지만 무조건100% 본진터렛도배를 필수로하는 테란한테는.. ㅡㅡ;
03/08/14 11:02
수정 아이콘
김동수 선수의 어택땅 프로토스
남자의로망은
03/08/14 11:29
수정 아이콘
최고는 슈팅셔틀이죠 -_- 여지껏 전략 하나땜에 패치가 나온 일이 한번도 없었죠. 건담류다 하드코어 질럿이다 드랍십이다 삼방드랍이다 뭐다 해도 다들 파해법이 나왔지만 슈팅 셔틀은 파해법이 거의 없는 무적의 전략이었죠. (질리아스 존경합니다 +_+) 스타크 역사상 전략 하나때문에 패치가 나온것은 슈팅 셔틀 뿐이므로 최고의 전술 전략은 과거 질리아스의 패스트 리버에 이은 슈팅셔틀 이라고 생각합니다.
firstwheel
03/08/14 14:05
수정 아이콘
포비즌존에서 김동수선수의 스카웃에 이은 패스트 아비터리콜.
이걸 막아낸 임요환선수가 왜 황제인가를 보여줬죠.
Dr.protoss
03/08/14 14:17
수정 아이콘
가장 인상깊은 전략이라...고 하기는 좀 머하지만, 지금까지 스타크래프트 사상 스타크래프트의 판도를 가장 많이 변화시킨 전략(전략이라고 하기 좀 머한가요?)은, 메카닉 테란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아, 그리고 하도 오래된 일이긴 하지만, 남자의로망은질럿님이 말씀하신 슈팅셔틀에도 한표 던집니다.
드론찌개
03/08/14 14:33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가 보여준 테테전 투팩빌드도 멋졌죠.. 테테전 투팩빌드가 정석화된데에는 패치의 영향도 있지만 임요환선수가 유행시킨거나 다름없죠..
03/08/14 15:01
수정 아이콘
대나무 조이기는 실로 대단합니다.
방송경기에서 테란 대 플토의 경기에서 항상 언급되는 전략이니까요.
03/08/14 18:19
수정 아이콘
이기석선수의 투탱드랍

리플레이에선 이재훈선수의 초패스트커세어(홍진호선수와의경기였는데.. 로템에서 질럿한마리도 안뽑고 커세어준비하면서 방어는 캐논으로하는... 결국 그경기이김-_-;)
그리고 강민선수의 2시에서 4프로브파일런에이은 게이트 12시에 저그가없었지만 6시에있었고.. 결국 그게임승리-_-;;)

글구 조용호선수가 한창 즐겨쓰던 5드론발업+3CM 럴커드랍-_-
03/08/14 18:29
수정 아이콘
그리고 한시절을 풍미했던 강도경의 저글링 버로우
Naraboyz
03/08/14 18:35
수정 아이콘
KIDD님; 5파일런 6게이트로 기억합니다^^
03/08/14 18:57
수정 아이콘
처음 대나무 조이기 봤을 땐 참 황당했었죠.
소규모 병력으로 어슬렁 어슬렁.. 뭐하는거지-_-;; 했었거든요.
그 때는 무조건 어느정도 병력이 된 후에 나가야지.. 하던 때라서^^
박정석테란김
03/08/15 02:04
수정 아이콘
조정현선수의 트리플 커맨드... 처음 봤을 땐 황당했음.--;;
라그나뢰크
03/08/16 00:5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대나무조이기도 엄청~~좋아하지만 그것보다는 임요환선수의 페스트 드랍쉽이 최고라고 생각되네요^^ 대 저그전에 그만한 전략도 없을듯^^
아이엠포유
03/08/17 00:59
수정 아이콘
저는 지극히 제 주관적인 입장에서 봤을때는 지난 3차듀얼 B조 마지막 경기였던걸로 기억하는데요.. 박상익선수와 한웅렬선수의 네오비프로스트에서 벌인 경기 입니다. 그때 박상익 선수가 보여준 9드론 발업 저글링 앞뒤 쌈싸먹기로 40분까까운 장기전끝에 이긴 한웅렬선수를 5분만에 게임 끝내버렸습니다.
처음 6기 저글링은 뒷길로 돌아가고 추가 6기 저글링으로 앞을 치는 정말 그타이밍에 상대방 머린의 수까지 계산 했다는 정말 치밀하면서도 강렬한 전략.. 그리고 승리를 거두고 박상익 선수가 좋아했던 장면도 생각 나네요^^
남자의로망은
03/08/17 12:20
수정 아이콘
라그나뢰크님// 별 얘기는 아니지만 패스트 드랍쉽은 이전에도 많은 선수들이 쓴 전략입니다 ^^ 온겜넷만 하더라도 기욤 선수가 가장 먼저 보여주었구요. '가장 잘 쓴' 선수는 임요환 선수입니다만 ^^
드라군라자
03/08/18 18:24
수정 아이콘
신주영선수의 10배럭 무한마린 이기석선수의 언덕배럭
변길섭선수 불꽃테란 등등이 기억이나네요
03/09/14 23:49
수정 아이콘
1.07시절 스페이스 오딧세이 초패스트 캐리어... ^^ 상대 종족 불문하고 (경우에 따라 커세어 먼저...) 사용됐던... 최근에 MSL 위너스 결승에서 강민 선수가 전태규 선수 상대로 섬맵 채러티에서 보여주기도 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토론 게시판 사용 규칙을 지켜 주세요. [3] homy 03/07/16 107149
공지 댓글잠금 게시판 사용에 관해. [7] homy 02/09/29 64523
1839 "부탁" 지양해야 할 행위인가? [31] 켈로그김54454 13/02/07 54454
1838 유게, 겜게 카테고리 말머리 관련 [11] Toby46964 13/01/30 46964
1837 자유게시판의 아이돌 영상 관련 [160] 마바라53160 13/01/18 53160
1829 대한민국 중장기 정책과제에 명시된 '고령자 기준 상향'에 대한 이야기 [9] The xian46185 12/12/27 46185
1823 피지알 시스템 개편 관련 논의 [34] Toby43571 12/12/27 43571
1807 피지알 회원인증 방식 논의 [98] Toby34585 12/12/20 34585
1803 미성년자 범죄 어느정도까지 계도의 대상일까요? [8] SkPJi28143 12/12/01 28143
1802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인정되어야 하는가? [112] 치코리타31461 12/11/18 31461
1798 제약이 많은 커뮤니티 VS 제약이 적은 커뮤니티 [42] 기도씨30105 12/10/29 30105
1797 20플이상 게시물 삭제 금지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79] Toby29031 12/10/25 29031
1796 약자는 항상 선이고 강자는 악일까요(부제: 김연경선수 VS 흥국생명) [30] 두둔발29674 12/10/23 29674
1794 취업시 학력 미기재에 대한 의견 [211] SaiNT37695 12/10/15 37695
1788 흔한 만화가의 평범한 돈벌이 수단 [25] 유치리이순규44673 12/08/28 44673
1787 PGR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에 대하여 [64] 아하스페르츠29806 12/08/22 29806
1786 동정심은 선인가 악인가? [24] 나는요오빠가좋은걸33561 12/08/19 33561
1777 여성은 차별 받고 있는가? 현시대에 남녀차별이란게 존재하나요? [368] 백곰사마49436 12/03/25 49436
1776 여성부에 근무하는 4명의 남자들이 털어놓는 역차별..[펌] [299] 부끄러운줄알55002 10/08/31 55002
1775 또 학교에서 일이 터졌네요.(학생의 선생폭력관련) [261] 날쏘고가라43413 12/05/03 43413
1771 종교는 정말로 과학 발전을 방해해왔나? [151] OrBef44822 12/05/19 44822
1770 통합진보당 버려야합니까? [47] BIFROST33037 12/05/31 33037
1769 인간이 동물에게 가져야 할 측은지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278] 유료체험쿠폰47669 10/08/12 476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