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9/22 01:41:48
Name kimbilly
Subject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1.0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1.0
스타크래프트 II 공식 웹사이트에서 새 소식을 살펴보고 커뮤니티 활동을 경험해보세요. 스타크래프트 II의 게임플레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초보자 가이드도 여러분의 방문을 기다립니다. 새로운 전투가 시작된 코프룰루 구역에서 여행을 시작하신 모든 분께 행운이 따르길 빕니다!

* 밸런스 조정

프로토스
- 광전사 : 소환 시간이 33에서 38로 증가하였습니다. / 차원 관문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23에서 28로 증가하였습니다.

테란
- 전투순양함 : 지상 공격력이 10에서 8로 감소하였습니다.
- 벙커 : 건설 시간이 30에서 35로 증가하였습니다.
- 사신 : 훈련 시간이 40에서 45로 증가하였습니다.
공성 전차 : 공성 모드에서 공격력이 50에서 35(중장갑 상대 시 +15)로 감소하였습니다. / 업그레이드 공격력이 +5에서 +3(중장갑 상대 시 +2)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저그
울트라리스크 : 돌기 능력이 삭제되었습니다. 건물에도 일반 공격력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공격력이 15(중장갑 상대 시 +25)에서 15(중장갑 상대 시 +20)로 감소하였습니다.

* 지도

사막 오아시스
앞마당 확장 기지를 쉽게 방어할 수 있도록 파괴 가능한 바위가 추가되었습니다.
중앙 젤나가 감시탑 지역이 좁아졌습니다.

* 버그 수정

게임플레이

- 일반
미사일이 쫓던 유닛이 수송기에 실렸을 때 미사일의 대상이 근처의 동일 유형 유닛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건설 중 피해를 받은 구조물이 손실된 구조물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건설 지역이 비기를 기다리는 일꾼이 건설 지역을 나가려는 유닛을 막을 수 있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가방 떨어뜨리기 범위 확인에 관련된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명령 창에 나타나지 않은 명령을 내릴 수 있었던 버그가 수정되었습니다.

- 인터페이스
대기열 툴팁에 진행 중인 작업 정보가 표시됩니다.
뒤로 버튼을 눌렀을 때 가끔 점수 화면으로 가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 테란
병영이 두 개 이상일 때 해병을 훈련시키면, 반응로가 부착된 병영이 기술실이 부착된 병영이나 부속건물이 없는 병영보다 먼저 선택됩니다.
사령부가 둘 이상일 때 사령부에 건설로봇을 들이면 가장 가까운 사령부에 들어갑니다.

- 저그
인공지능이 조종하는 부화장, 번식지, 군락이 파괴되었을 때 점막이 정상적으로 수축합니다.

(패치 내용이 많은데, 밸런스 위주의 내용만 적어 놓겠습니다. 해당 패치 노트는 하단의 주소에서 자세히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www.playxp.com/sc2/news/view.php?article_id=210269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가리
10/09/22 01:37
수정 아이콘
정말 이게 끝이라니 --;;
Jeremy Toulalan
10/09/22 01:38
수정 아이콘
이미 알려진 내용외에 밸런스 패치는 없네요?
10/09/22 01:46
수정 아이콘
패치노트에 패치 내용이 전부 기록 되지는 않죠. 잠수함 패치는 어떨지..
10/09/22 01:48
수정 아이콘
사신 패치 된게 어딘가요... 라고 말하고 싶지만. 아놔 .. 불곰
빼꼼후다닥
10/09/22 01:50
수정 아이콘
저그는 이제 건물을 더 잘 부수겠네요...


원한건 이게 아닌데...

p.s : 다만 편집기 몇몇 부분은 패치가 되서 한결 쓰기 편해진 것 같네요. 제발 유즈맵 좀 흥했으면...
무한의 질럿
10/09/22 01:53
수정 아이콘
광전사 하향되서 초반 불곰 저글링 압박이 더 크게 느껴지겠네요.
하드코어
10/09/22 01:53
수정 아이콘
저그입장에선 어느정도 선부화장빌드를 사용해도 앞마당을 소중히 지킬수 있는 패치가 된것 같아서 기쁩니다..
10/09/22 01:51
수정 아이콘
음.. 그런데 광전사는 뭘 잘못했길래 빌드타임이 5초나 늘어났나요 ㅠ.ㅠ
세 종족 중에서 저글링만 좀 상향 시키고 기본 유닛은 안건들였으면 좋겠는데.. 특히 빌드타임 같이 타이밍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요.
이제 날빌 오면 더 잘 당하겠네요.
10/09/22 02:39
수정 아이콘
테란전 전진병영이 두려워질거 같네요..
10/09/22 03:01
수정 아이콘
저그는 토스전이 조금 나아진 것 빼고는 여전히 시망이네요..
그리고 정작 중요한 불곰은 패치 안할 기세네요
마늘향기
10/09/22 06:59
수정 아이콘
여기에는 안적혀있지만 게임중 게임경과시간표시 기능 추가도 좋군요~
10/09/22 07:38
수정 아이콘
저그입장에선 테란전은 뭐 사신5초늘어도 여전히 압박은 올거같으니 바퀴로 막야할건 변함없는거같구요..

탱크는 맹독충을 운영할때 좋은거같습니다..환영 하지만 히드라는 여전히 안쓰일듯

플토전은 전혀 달라진게 없을거같네요 극초반 질럿찌르기가 아주약간 안무서워질뿐 어짜피 초중반 핵심은 질럿이아니라 추젖이랑 파숙 이니간요...토스전을 전혀 배려를 안해주네요...

거신 조난쎄 -> 어그럼 광전사 5초 너프시켜 -> ????????
10/09/22 07:48
수정 아이콘
아.. 제일 기대했던 채널 기능추가나 이런 패치가 없네요.. 아 아쉽다..
어느멋진날
10/09/22 09:08
수정 아이콘
채널추가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패치는 좀 장기적으로 준비중이라고 말했던걸로 기억해요. 어쨋든 이부분도 결국 패치가 이루어 질것이라고 봅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Px0zB9_ePmI
이거 보시면... 울트라가 이번 패치로 건물 깨는 괴수가 되었네요. 돌기는 진작에 잉여스러운게 사라진거고요. 문제는 스플래쉬;; 무슨 스플레쉬가 건물 주위로 다 들어가니 테란 일꾼들이 수리하려다 순삭됩니다. 돌기 능력까지 없앤 판국에 어느 정도 의도된거라고 보이는데 저그가 행요 깔며 버티는 테란상대하기가 한결 수월해지겠네요.
우유친구제티
10/09/22 09:30
수정 아이콘
망가진 저플전 밸런스에는 전혀 영향이 없을 것 같네요 결국 타락귀 거신 불곰 모두 손 안 대겠다 이건가요? 토스 유전데도 굉장히 의아한 패치내용이네요. 테란 상대로 더더욱 할만해질 토스가 최강 종족으로 올라설 것 같습니다.
써니티파니
10/09/22 09:24
수정 아이콘
토스같은 경우 업그레이드 아이콘들이 더 깔끔하고 컬러풀하게 바뀌었습니다.
V2Eagles
10/09/22 09:37
수정 아이콘
저그유저인데 스타2 접을랍니다. 정말 더러워서 못해먹겠네요.
검은별
10/09/22 09:44
수정 아이콘
패치이후에 결제 결정하려고 했는데... 이거 참..;;
지니쏠
10/09/22 10:02
수정 아이콘
상당히 저그가 괜찮은 패치 아닌가요? 전 이번패치로 토스가 최약체가될거라고 판단하고 주종을 저그로 바꿀 생각인데.. 토스가 최강이 될거란분도있고 저그분들 반응도 예상밖이네요. 핵심유닛 빌드타임이 20%나 증가했는데.. [m]
밀가리
10/09/22 09:58
수정 아이콘
방1업하면 저글링이 한방에 안죽고 맹덕도 방사피해가 줄어들어서 생존율이 늘어나죠. 지긋지긋한 사신벙커링도 빌드탐이 늘어났고, 무엇보다도 광전사 너프로 왠만한 맵에서는 플토상대로 선부화장 빌드도 가능할 것 같은데요..
검은별
10/09/22 10:19
수정 아이콘
http://us.battle.net/sc2/en/forum/topic/627980105

위쪽 울트라 건물 공격시 스플에 관한 블리자드의 공식 입장이 발표되었네요. 한마디로 버그이고 다음 패치에 수정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중장갑추뎀의 감소로 울트라는 너프같군요...ㅠㅠ
10/09/22 13:45
수정 아이콘
테저전은 상당히 할만한 수준까진 가겠지요. 탱크, 벙커, 사신은 주로 저그전 밸런스 문제에서 핵심이 되던 유닛들이니
하지만 테플전 밸런스에는 큰 영향을 줄 것 같지 않고
가장 큰 문제는, 프저전 밸런스가 거의 그대로일 것 같습니다.

울트라는 테란전에서 건물 깨야 하는 경우가 은근히 많이 나오지만, 플토전은 좀 다릅니다. 광자포밭 같은 상황은 거의 안 나오고요.
오히려 플토전에는 중장 추뎀이 줄어들면서 약간 너프의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핵심은 gsl에서 이정환 선수가 저그 상대로 보여준 '절대타이밍'의 해답이 나오느냐인데, 전 조금 부정적으로 보입니다.
그 타이밍의 핵심 유닛은 추적자와 파수기지요. 아마 광전사 하나 줄거나 러시 5초 늦어지는 정도일 텐데, 글쎄요.
프저전은 패치에 뭔가 새로운 해결 방안이 추가되었으면 했는데, 아쉽네요.
몽키매직
10/09/22 14:51
수정 아이콘
플저전도 어느 정도일지는 모르겠지만 훨씬 나아질 것 같네요. 일단 초반 1질럿이 5초 늦고 2번째 질럿은 10 초 늦는다는 것. 이거 아무리 생각해봐도 무시못할 것 같은데요. 일단 전진게이트, 질럿푸시 형 빌드들이 힘이 훨씬 약해져 저그가 드론 째기도 좋아지고, 반대로 저그가 초반에 가난한 빠른 스포닝 6저글링 러쉬에 대해 프로토스가 대응하기 어려워져 프로토스가 게이트를 좀더 떙겨 짓는 지금보다 약간은 가난한 플레이를 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나일론
10/09/22 14:58
수정 아이콘
좀 이상한 패치네요. 테플전에서 플토는 초반 약화, 테란은 후반 약화. 뭐 하자는 건지. 정작 망가진 저플전은 하나 바꿘거 없고요. 저그는 계속해서 거추파에 발리겠네요.

아참, 탱크 약화땜에 그런지 몰라도 맹독충 잘 안 죽습니다. 군락 안가고도 테란이랑 어느정도 장기전이 가능하네요.
10/09/22 16:53
수정 아이콘
저기 지금 이미 패치된걸로 오해하시는 분들도 있네요.
아직 패치 이후 체감플레이는 모르지 않나요?
내일 되야 패치되니.

스타2 키면 왼쪽 하단에 패치버전 정보 나오잖아요. 오늘은 아직 1.0.3 이죠.
10/09/22 17:29
수정 아이콘
북미 유저 말로는 저프전 선해처리 할때 별로 차이 못느낀다고 합니다.
엉클구
10/09/22 18:27
수정 아이콘
저프전의 밸런스는 거신이나 고기 불멸자의 너프가 없는 한 안좋게 이어질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토스 유닛을 너프시키면 테프가 변수가 될 것이구요.

초반에 광전사 타이밍이 좀 늦게 나옴으로서 토스의 빌드도 조금은 바뀌지 않을까 싶습니다.
테프전에서 테란이 후반에는 정말 할 게 없는데 전차의 약화로 더욱 어렵게 되었네요;;
마늘향기
10/09/22 18:21
수정 아이콘
원래 울트라의 건물공격은 거의 의미가 없었죠.
dps가 건물공격이나 중장갑일반 공격이나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10/09/22 18:34
수정 아이콘
광전사너프로...토스는 팀플에서 더더욱 잉여가...ㅠㅠ
백수최
10/09/22 19:0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저그가 초반에 대비할 게 몇개 없어진 것은 희소식이네요
물론 저그유저입장에서 100% 만족한 건 아니지만

앞으로는 선앞마당 후 타이밍을 노리는 전략을 연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반대로 다른 종족은 앞마당 먹고 좀더 모아서 나오는 빌드가 좀 더 많아질 것 같습니다.
잃어버린사원
10/09/22 19:49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초반에 어떻게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중후반 운영이 엄청나게 바뀐다는 생각>>은 안하시는 듯한데 저그가 스1에서 플토에게 강했던 이유는 개별 유닛이 효율이 좋은 것도 있었지만 플토상대로 '째는게' 가능해서 그런겁니다.

테란 상대로는 확장하나 가져가는게 떨리고 언제 털릴지 몰라서 방어도 신경써야 했던 반면에 대 플토전은 성큰과 오버로드로 너무도 쉽게 방어가 가능하죠..럴커 스포어 까지 있으면 주력본대가 오지 않는이상 난공불락이 됩니다.

스2저그가 플토에 압살당하는 중요한 이유중 하나가 못 째서,, 자원을 생각보다 많이 모으지 못해서 그런건데 앞마당이 자유로와진 저그가 어떻게 너프라고 할 수 있나요...

차관 쿨탐은 제 착각으로 수정합니다.

제생각은 이번패치로 프저전 밸런스 6.5:3.5까지 줄어들 것 같네요....초중반 자원전으로 가는 저그들이 아마 플토를 현재보다 많이 잡을꺼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20 레더 팀플레이에서 맘 상하는 이유. [17] 빼꼼후다닥3818 10/09/22 3818
1819 테테전 너무 어렵네요 [5] ok_computer2860 10/09/22 2860
1818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패치 1.1.0 [56] kimbilly7322 10/09/22 7322
1817 드디어 저그로 다이아 1000점을 달성했습니다. [12] 하드코어3208 10/09/22 3208
1816 안준영 해설 기사도 연승전 7연승 중입니다. [14] 김연우4941 10/09/21 4941
1815 드디어 처음으로 맵핵을 당해봤습니다. [6] 엄마,아빠 사랑해요3507 10/09/21 3507
1814 건설 순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까요? [7] 허느님맙소사3830 10/09/21 3830
1813 처음 글 씁니다;;;; [9] 최강망고쥬스2582 10/09/21 2582
1812 이주영 해설 겜실력은 녹슬지 않았네요 [9] 백수최4444 10/09/21 4444
1811 조금만 더하면...!! [7] 넨네론도3022 10/09/21 3022
1810 잡담들 [6] 김연우2720 10/09/21 2720
1809 ELL은 없어도 될것 같습니다 [10] 제시카갤러리3501 10/09/21 3501
1808 스타2를 위한 특박 [6] 비빔면3111 10/09/21 3111
1807 추석 연휴가 되면서, 스타2 점유율이 올라가고 있네요.. [7] Leeka3882 10/09/21 3882
1806 스타2의 사소한 아쉬운 점들. [13] Physiallergy3288 10/09/21 3288
1805 1계정 다중아이디 문제에 대한 제 의견입니다. [17] 참글3672 10/09/21 3672
1804 몇시간 뒤면.. 드디어 해외에 1.1패치가 공개되네요.. [6] Leeka3211 10/09/21 3211
1803 Starcraft 2 OPEN Season1 - 32강 4일차 현장 스케치 (TLO 선수 위주) [3] kimbilly3251 10/09/21 3251
1802 GSL 쩌그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8] 라이크3853 10/09/21 3853
1801 스타2 클랜 목록 C.0 Fix_me2475 10/09/21 2475
1800 제 의견이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13] 왼손잡이2914 10/09/21 2914
1799 오픈베타 종료 이후 소감 및 이야깃거리 [4] 빼꼼후다닥3028 10/09/20 3028
1798 블리자드 코리아에 정말 화가 나네요. [12] 포도사과4164 10/09/20 416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