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9/15 15:53:00
Name cheme
Subject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7
이 글은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시리즈의 일부입니다.
혹시 도배성 글로 느껴져 불편하셨을 분들이 계시다면 미리 사과 말씀 드립니다.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1편 : https://ppt21.com/freedom/88059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2편 : https://ppt21.com/freedom/88063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3편 : https://ppt21.com/freedom/88065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4편 : https://ppt21.com/freedom/88066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5편 : https://ppt21.com/freedom/88067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6편 : https://ppt21.com/freedom/88073
========================================================
[국가의 보호인가, 국가의 간섭인가?]

일본 반도체 왕국의 쇠망을 재촉한 세번째 요인은 다른 아닌 일본 정부의 과도한 개입 혹은 보호주의였습니다. 애초 일본의 반도체 산업이 후발 주자의 신세를 생각보다 빨리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일본 정부, 즉, 구 경산성이 주도한 '초LSI기술협의회'라는 관민단체의 조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조직을 통해, 일본의 업체들은 노하우를 공유하고, 중복 기술 투자를 줄이면서, 정부가 주도하는 반도체 업계 생태계가 자국 안에서 자생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출 수 있었습니다. 특유의 장인정신을 독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생각보다 빨리 세계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낸 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일본 정부의 관여가 지속되면서 안정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점유율 장악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를 알아채린 미국 정부가 1985년부터 일본 정부의 관여를 반덤핑 제소 등의 방법으로 견제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미-일 반도체 협정'이라는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였습니다. 그렇지만 그 이후에도 일본 정부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관여는 지속되었고, 90년대 들어 한국의 삼성전자 같은 후발 주자들이 본격적으로 세계 시장에서 일본의 업체들과 경쟁을 시작하면서부터 일본 정부의 국가주의는 일본의 업체들에게 약이 아닌 독으로 작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업계가 97년 동아시아 발 금융 위기를 거쳐 2000년대 들어 정리되기 시작하면서, 일본의 반도체 업계에 닥친 불안한 기운을 감지한 일본 정부는 과거의 관행을 답습하기 시작했습니다. 정부가 나서서 반도체 산업의 중흥을 이끌고 밀어주는 프로젝트를 난립시킨 것이죠. 200억엔 규모의 아스카프로젝트, 80억엔 규모의 HALCA 프로젝트, 315억엔 규모의 첨단 SoC 기반기술개발 (ASPLA) 같은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프로젝트의 규모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굉장히 애매한 규모의 프로젝트입니다. 아예 대형 프로젝트였다면 기업들에게 조금이나마, 특히 선행 원천 기술 개발에 있어서 다소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지만, 웬만한 대기업 1분기 매출액도 안 되는 규모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기업들 입장에서는 번거롭기만한 프로젝트로 다가 왔을 것입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일본 정부는 자국 산업에 대한 보호 열망이 너무 심했던 나머지, 경영 전략으로서 행해졌던 사업 분리나 정리를 쉽게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엘피다 등의 업체가 공정 채산성으로 고난의 행군을 시작하며, 결국 칩의 생산 자체를 대만의 파운드리 업체인 SPC나 TSMC에 위탁하려 하자, 일본 경산성은 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 그리고 자국 반도체 산업의 위축을 걱정한 나머지, 국가가 주도하여 이를 대신할 사업을 추진하려고도 하였습니다. 일본 경산성이 계획했던 것은 국가 주도의 파운드리 업체를 하나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갑자기 없던 파운드리 업체를 만들 수는 없으므로, 업계의 강자였던 히타치제작소, NEC, 후지쯔, 마쓰시타 전기, 미쯔비시 전기, 도시바 등이 같이 참여하여 공동으로 이 신규 파운드리 업체를 출범시키는 것을 골자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이미 각 회사의 비즈니스 방향과 주력 품목이 다양해진 상황에서, 파운드리 업체의 출범은 모든 기업에게 만족할만한 성과를 주는 아이템은 아니었습니다. 엘피다에게는 좋은 옵션이었을지 모르지만, 이후 출범한 르네사스 같은 시스템 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 업체에게는 별로 좋은 옵션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들 예상 참여 기업의 관계자들은 파운드리 공정에 누가 더 많이 참여할 것인가, 누가 더 책임질 것인가, 비용 분담은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 했고, 결국 경산성이 주도한 파운드리 신설 프로젝트는 행정적인 비용과 각 회사의 불신만 남긴 채 흐지부지되어버렸습다. 오히려 2005년 후지쯔는 국가 파운드리 구상이 무색하게, 독자적으로 첨단 공정이 적용된 공장을 건설하기도 하였습니다. 일본 정부의 입김이 점점 자국의 반도체 업계에게 먹히지 않고 있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기도 합니다.

일본 정부의 엘리트 관료들이 회사 관계자들을 모아 놓고 ‘다이와’를 외치며 국가의 자존심을 외치는 시대가 지나버린지 한참인데, 일본 정부의 시대착오적인 시도는 지금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도시바의 쇠망사에서도 살펴보았지만, 플래시메모리 세계 시장을 놓칠 수 없었던 일본 정부는 악회되는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도시바의 지분을 정부 주도로 인수하여 정부의 재무 건전성을 약화시켰고, 르네사스가 출범하던 2010년대 초반에도 정부 주도의 민관펀드인 ‘산업혁신기구’를 앞세워 출자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2012년말 파산 위기를 맞았던 르네사스의 최후의 버팀목이 된 것은 이러한 일본 정부의 펀드이기도 했지만, 이는 장기적으로는 차라리 일찍 청산되어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었던 회사에 대해, 정부가 억지로 산소 호흡기를 씌워 강제로 연명 치료를 하는 격이 되어 가는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0년 하반기가 된 시점에서도, 일본 정부는 자국 반도체 산업 부활에 대한 희망의 끈을 여전히 놓지 않고 있는 모양새로 보입니다. 2020년 7월, 일본 정부는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전략을 대폭 수정할 방침임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기존에 메모리 반도체나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에서 정부 주도로 3개 이상의 일본 기업들이 합병하는 등의 연대 방식을 탈피하고, 대신 반도체 생산 경쟁력이 뛰어난 외국 업체와 일본이 강점을 가진 소재/부품/장치 업체 간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제 연대 조직을 만들어 이에 대한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을 계획하고 있는 것이죠. 일본은 그 첫 대상으로서 전 세계 파운드리 수위 업체 TSMC (2019년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51.2%)를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이미 TSMC는 도쿄대와 수년 전부터 공동으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고, 미-중 간 반도체 전쟁과 무역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일본은 TSMC의 생산 거점 확대를 중국이 아닌 미국과 일본으로 유치하는 전략을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일본 정부는 TSMC가 일본에 공장을 지을 경우 정부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며, TSMC가 일본의 반도체 기업과 합작을 할 경우, 수 년 간 1,000억 엔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TSMC 뿐만 아니라, 기회가 된다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삼성전자나 미국, 유럽의 반도체 회사와도 국제 연대를 할 수 있음을 천명하였습니다.

그러나 2019년 8월 이후, 일본 정부가 규제를 풀지 않고 있는 대 한국 반도체 주요 소재 수출 규제가 지속되는 국면에서,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한국의 반도체 상위 업체들의 일본 시장 진출이나 일본과의 합작 회사 설립은 당분간은 현실성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반도체 업계는 반도체 시장의 수익 변동성에 대처하기 위해, 그간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일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품목 공급망을 다양화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그간 한국의 반도체 대기업과 공급망을 형성하던 일본의 관련 업체들의 수익성이 급격하게 약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즉, 일본으로 한국의 반도체 업체가 진출하기는커녕, 대 한국 수출 시장이 막힌 일본의 반도체 관련 소재/부품/장비 회사의 한국 진출이 더 가속화되는 현실인 것입니다. 수출 규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이미 2019년에는 칸토덴카 (関東電化) 공업이 한국 공장에서 생산을 개시했으며, 타이요(太陽) 홀딩스 같은 회사는 2020년 5월, 한국에 신규로 400만㎡ 규모의 프린트 배선판(PWB)와 반도체 패키지 기판 용 드라이필름형 솔더레지스트 공장 건설을 위해, 자회사 '타이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 설립을 할 것임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타이요는 솔더레지스트 분야에서는 전 세계 80-90%의 점유율을 보이는 세계적인 업체인데, 이러한 소재는 반도체 초미세 패터닝 공정의 핵심 소재이기도 합니다. 이 같은 소재와 부품은 비단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반도체 업체는 물론, 향후 현대-기아 자동차 그룹의 차세대 자율주행자동차 용 컴퓨터나 IoT 등의 업종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요 입장에서는 종합적인 포석을 고려하여 한국에 생산 기지를 두는 것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도 일본산 소재/부품/장비의 수출 제약이 걸려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은 일본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한국으로 이전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전망입니다. 일본 업체들뿐만 아니라, 다른 해외 업체들도 반도체 소재/부품 관련 공장을 한국에 신설하는 중입니다. 엠이엠씨 (MEMC) 코리아 (모회사 글로벌웨이퍼스)는 2019년 11월, 5,400억원을 투자하여 한국의 천안시에 반도체용 실리콘 웨이퍼를 생산하는 신규 2공장을 준공했다. 이로써 이전까지 일본에서 절반 이상 수입해 오던 실리콘 웨이퍼에 대해, 9%의 대체 효과가 발생하였습니다.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애써 키워 온 자국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차례대로 무너지는 것을 두고 볼 수는 없었겠지만, 정부가 개입하기 시작하면 산업의 생태계는 왜곡을 겪게 되고, 특히 세계 시장에서 경쟁해야 하는 반도체 업체들은 국가의 도움이 어느 순간 관여와 간섭으로 변질되어 신속한 경영 판단과 사업 철수를 결정짓지 못 하는 폐단을 겪게 됩니다.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사회기반시설은 정부가 직접 챙기거나, 적어도 정부가 대부분의 지분을 소유한 공기업이 사업에 진출하여, 적자를 감수해서라도 국민 생활 안정을 꾀하는 것에 대해 정당성이 부여되지만, 반도체 산업은 국민 생활에 직접적으로 필수적인 산업으로 와 닿지 않는 데다가, 자국내에서만 경쟁을 하는 산업이 아닌 특징이 있기 때문에, 정부의 보호주의, 정부의 무리한 리더쉽 발휘는 정상적인 기업 생리를 방해한 격이 된 셈입니다.

이는 마치 과도한 보호로 인해 정상적인 성인으로 자라나지 못 한 어른을 연상케 하는 대목입니다. 어린 아이가 자랄 때 부모는 당연히 의무적으로 아이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야 하고, 사회 생활을 하는데 필수적인 생활 방식과 지혜를 가르쳐야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너무 과도하면 아이는 자립할 기반을 잃어버리고, 의존과 더불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갖추지 못 하게 됩니다. 성인이 되고 나서도 생각을 부모에게 맡기고, 생활을 부모의 지도에만 따르는 순종적인 아이로만 머물러 있게 됩니다. 이는 아이를 망치는 지름길이죠.

일본의 반도체 산업을 어린아이에 비유하기는 무리이지만, 일본 정부가 지금까지 벌여 온 각종 사업과 보호주의, 펀드 조성, 강제적인 구조조정, 정부 주도의 사업 제안 같은 조치는 원리적으로는 아이를 계속 성인이 될 때까지 품에 안고 놓아주지 못 하는 부모와 다를 바가 없을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카엘
20/09/15 15:56
수정 아이콘
선추천 후감상.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20/09/15 16:14
수정 아이콘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09/15 16:00
수정 아이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통찰력과 필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20/09/15 16:15
수정 아이콘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족한 지식과 필력이지만 중요한 내용이라 생각하며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사업드래군
20/09/15 16:03
수정 아이콘
오늘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20/09/15 16:14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이군
20/09/15 16:27
수정 아이콘
일본의 저러한 방식을 소위 호송선단 방식이라고 합니다.
https://namu.wiki/w/%ED%98%B8%EC%86%A1%EC%84%A0%EB%8B%A8

각 기업들은 전체 업무에서 한 부분씩만 담당하고, 타 업체와의 경쟁을 피하는 대신에 어느정도의 이익을 보장받습니다. 중소기업의 생존을 보장하고, 기술력을 높이는 데에는 좋은 효과를 만들었지만, 막상 이것들을 통합하는 대기업들은 관료화의 함정에 빠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하나의 문제가 생기면 그 문제가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가 지금 글에서 논하는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분입니다. 메모리가 문제가 생김->메모리가 들어가는 휴대폰의 경쟁력 악화->휴대폰에 들어가는 LCD산업의 채산성 악화->저품질화된 LCD가 들어가는 휴대폰의 경쟁력 악화... 의 악순환의 무한고리가 들어갑니다.

결과적으로 이 순환의 바깥에 있는, 정부의 관심이 없었던 게임기 만이, 현재 일본에서 내새울만한 전자제품이 된 아이러니함이 있죠. 하지만, 게임기의 주최사인 소니와 닌텐도 또한 이 호송선단 방식의 함정에 한번씩 빠졌다가(ex. 플스3의 CELL CPU의 폭망, 닌텐도 64와 게임큐브의 실패의 주 원인은 각각 미니 DVD와 카트리지 같은 구시대적인, 그리고 일본에서만 생산가능한 저장장치에 대한 집착이었음) 결국 알맹이는 거의 다 외산품이 되는 결과물이 되었습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은 일본의 자동차 산업에서 비슷한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를 의심하고 있습니다. 내연기관에 대한 집착으로 전기차 이행이 늦어지는 거 아니냐는 거죠. 덕분에 현대차 주가가 갑툭튀 상승했죠.
20/09/15 16:32
수정 아이콘
정보 보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 정부의 정책은 초기에는 분명히 외부의 늑대들로부터 양들을 지켜주는 훌륭한 울타리가 되어 주었습니다만, 목장이 커지고 늑대가 사라지자, 양들이 비대해졌고 초장 밖에서는 풀을 뜯는 능력이 퇴화되었죠. 게임 분야는 저도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만, 그래도 닌텐도와 소니의 (탈일본스러운) 창의성이 없었다면 오래 버티기 어려웠을 것 같긴 합니다. 자동차 업계의 진행 방향도 무척 흥미롭게 지켜 보고 있는데, 전기차, 자율주행차, 수소차로 이어지는 파괴적 혁신의 고리에 대해 일본 완성차 업계의 대응이 어중간 한 상황이라, 현재로서는 제 2의 반도체 쇠망사가 자동차 업계에서도 재현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므라노
20/09/15 16:46
수정 아이콘
일본 소재업체의 한국 진출은 우리나라에 어떤 이점을 가져다 주나요?
반도체 업계 특성상 고용 효과가 그렇게 많을 것 같진 않아보이고.. 수입 하던 물량을 국내에서 생산하는만큼 GDP는 오르고 외화에 여유가 생기겠지만 그만큼 또 자본으로 빼갈 것 같고.

국내 법인이라 공급 안정성이 높음 + 국내투자 파급효과 + 전액 일본 본사가 가져가던게 법인, 재투자 형태로 국내에 남음 정도라고 보면 될까요?
20/09/15 16:51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안정적인 소재 공급망이 정착되죠. 신규 인력 고용은 덤이고요. 그리고 한국에서 어쨌든 법인세를 내니까 한국 GDP에도 도움이 되죠.
자본으로 빼가는 정도는 그리 심하지는 않을 것이고, 한국의 회사들이 요구하는 수준에 맞추다 보면, 결국 한국에 진출한 업체들은 한국 회사들에게 종속됩니다. 설립 주체만 일본이지, 한국 회사가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죠.
음란파괴왕
20/09/15 17:00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20/09/15 17:03
수정 아이콘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잠만보
20/09/15 18:48
수정 아이콘
막줄이 핵심이네요 아이가 클 때는 놔 줘야 하는데 큰 이후에도 치맛바람으로 보호하니 홀로서기를 제대로 못했다고 볼 수 있겠네요
20/09/15 20:25
수정 아이콘
한국 정부라고 해서 크게 다른 것은 아닌 것 같아요. 여전히 고위 관료들의 엘리티즘이 많이 남아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117 [정치] 신용대출 막차 잡아라. 이틀간 7,000억 급증 [223] Leeka18996 20/09/16 18996 0
88116 [일반] 택배기사들의 과로가 증폭되고 있는 모양입니다. [139] Fim16431 20/09/16 16431 2
88115 [정치] 민주당 "추미애 아들, 안중근의 위국헌신 몸소 실천" [214] 미뉴잇17908 20/09/16 17908 0
88114 [정치] 2차 재난지원금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204] Leeka18839 20/09/16 18839 0
88113 [일반] 애플워치 라인업이 새롭게 정리되었습니다. [29] Leeka10402 20/09/16 10402 0
88112 [일반] 뛰어나다는, 노골적으로 정치적인 영화 35편 [13] 아난10004 20/09/16 10004 0
88111 [일반] 대충 아반떼 하이브리드 뽑아 1000km 탄 후기 [32] giants15636 20/09/16 15636 4
88110 [정치] 국가가 코로나로 노래방 영업을 강제 정지시키면 임대료 할인도 강제할 수 있을까 [90] 대파12482 20/09/16 12482 0
88109 [일반] 왜 부모님은 너희 둘 다 잘못했어라고 하셨을까 [82] 치열하게12813 20/09/16 12813 9
88108 [일반] 베트남 외노자입니다. [93] BizKet18959 20/09/15 18959 69
88107 [일반] 먹고죽은 귀신이 때깔도 곱다 (데이터 아주주의) [44] 차기백수12644 20/09/15 12644 34
88105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8 (완) [48] cheme26576 20/09/15 26576 62
88104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7 [14] cheme23493 20/09/15 23493 33
88103 [일반] 의암호 사고 관련자들 입건되었다는군요. [29] 時雨11523 20/09/15 11523 2
88102 [일반] ‘1억건 고객 정보 유출’ 농협·국민·롯데카드, 법정 최고액 벌금 확정 [110] Leeka13789 20/09/15 13789 3
88101 [일반] 이랜드 신촌 청년주택이 내일부터 청약 신청을 받습니다 [100] Leeka12719 20/09/15 12719 0
88100 [정치] 인정 좀 하고 삽시다. [423] MakeItCount23687 20/09/15 23687 0
88099 [일반] 평양냉면 꿈과 해몽 [30] 치열하게8216 20/09/15 8216 2
88098 [일반] [에세이] 주식 게임 만들기 - 재료공학전공 대학생이 모바일 게임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 [24] 시드마이어10587 20/09/15 10587 22
88097 [일반] [일상] 개 풀 뜯어먹는 소리 하고있네.jpg [6] 살인자들의섬9347 20/09/14 9347 8
88096 [일반] 책 추천 - 일본의 내일 [6] 及時雨8504 20/09/14 8504 9
88095 [일반] 어느 극작가의 비명 [4] 겟타쯔8531 20/09/14 8531 12
88094 [정치] 디지털 교도소 전체 접속 차단 피해 [174] 카미트리아19168 20/09/14 191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