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17 10:10:09
Name meson
Subject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9. 나가며
이전 편: #1 #2 #3 #4 #5 #6 #7 #8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연개소문이 정확히 언제 사망했는지는 불명확합니다. 당나라의 기록들은 666년 연남생의 청병을 기록하며 연개소문의 사망 기사를 덧붙였을 뿐 자세한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9-1] 반면 『일본서기』는 그 유명한 유언 기록과 함께 연개소문이 664년 10월에 죽었다고 서술했지요.[9-2] 그런데 「천남생묘지명」에서는 연남생이 32세에 태막리지에 올랐다고 되어 있어[9-3] 665년에 연개소문이 사망했음이 암시됩니다. 일단 「천헌성묘지명」에도 연헌성이 16세일 때 연남건과 연남산 등이 재난을 일으켰다고 나와 있으므로,[9-4] 665년 중에 고구려의 내분이 시작되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9-5]

[9-1] 『冊府元龜』 卷986, 外臣部 征討5, 乾封 元年 6月; 『舊唐書』 卷199上, 列傳149上 東夷 高麗; 『新唐書』 卷220, 列傳145 東夷 高麗; 『資治通鑑』 卷201, 高宗 乾封 元年 5月 조.
[9-2] 『日本書紀』 卷27, 天智天皇 3年 10月 조.
[9-3] 「泉男生墓誌銘」, “卅二, 加太莫離支, 摠錄軍國, 阿衡元首.”
[9-4] 「泉獻誠墓誌銘」, ​“洎建產等兇邪, 公甫年十六時.”
[9-5] 서영교, 「乾封元年(666) 封禪문제와 唐의 對고구려 정책」, 『대구사학』 120, 2015, 78-79쪽.


그렇다면 연개소문은 662년에 방효태 등을 대파한 뒤 664년의 어느 시점까지도 요서 방면의 재진출을 지휘하였으나, 이후 병환 등으로 일선에서 물러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9-6] 그리고 665년 자식들의 내전이 벌어지기 이전에 사망하였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661~662년의 2차 고당전쟁은 연개소문이 마지막으로 치른 전쟁이었고, 이와 더불어 집권기의 기록상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당군에게 대승을 거둔 전쟁이었던 셈이죠.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 발생한 아들들의 내분으로 인해 고구려가 태산봉선으로 얻어낸 외교적 성과는 물거품이 되고 말았습니다.[9-7]

[9-6] 방용철, 「연개소문의 후계구도 정립과 사망(死亡)」, 『대구사학』 131, 2018, 143쪽.
[9-7] 여호규,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대구사학』 133, 2018, 185쪽.


빛바랜 영광

그 다음에 고구려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적어도 원인과 결과에 관해서만큼은 그러한 듯합니다. 물론 3차 고당전쟁에 대한 학술적 해석은 계속해서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지만, 2차 고당전쟁을 다루는 자리에서까지 언급할 만한 내용은 단지 여기까지일 것입니다. 어쨌거나 연개소문의 마지막 불꽃은 그렇게 끝났고, 그가 평생에 걸쳐 진력해 온 대당항쟁과 국제교섭의 편린은 단지 사수의 싸움을 담은 한 장의 이미지로만 갈음되어 오늘날까지 회자될 뿐입니다.

image
(정영렬 作, 「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의의: 역사에 비추어

그러나 그 멸망기의 사관에서 한 발짝 떨어지고 나면, 여전히 한 가지 질문이 남습니다. [ 결국 2차 고당전쟁은 무엇이었을까요? ] 누구에게나 나름의 대답이 있겠지만, 여기까지 아홉 편(혹은 일곱 편)의 길고 지루한 글을 끌고 온 이상에야 이번에도 남의 말을 빌려 주장하는 수밖에는 없을 듯합니다. 아래의 기록은 663년 8월, 당나라에 전쟁의 후유증이 아직 만연하던 시절의 간언입니다.

해동의 허물에 책임을 묻는 것보다는, 마땅히 거듭 백성을 위로하고 죄인을 벌해야 하건만, 수년 동안이나 빈번히 노역이 있어, 도처의 백성들이 진실로 크게 고통받고 있습니다[辛苦]. (···) 제가 은밀히 살펴보니, 아래에서 원망하고 탄식함[怨咨]이 없는 것이 아니고, 또 듣건대 ‘수조(隋朝)가 멸망[破亡]함은 정역(征役, 전쟁 부역)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과연) 수나라의 멸망이 어찌 반드시 이로 인한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하며, 그들에게 이러한 의론이 있음이 전해져 옵니다.
比爲海東負釁, 須申弔伐, 是數年已來, 頻有勞役, 所在百姓, 誠大辛苦. (···) 我密加廉察, 在下非無怨咨, 如聞隋朝破亡緣爲征役不息, 隋亡何必不繇此, 相傳其有此議.
또 바다 건너로 군대를 보내면, 어렵고 험한 일을 대비해야 하며, (병사들이) 혹 칼날[鋒刃]에 쓰러져 죽기도 하고, 혹 침몰을 당해 물에 빠지기도 하였습니다. 비명에 간 자들을 돌이켜 생각하면, 마음속에 슬픔이 가득합니다. (···) 전에 36주에서 선박[船舫]을 만들도록 명하신 것을, 이제 모두 중지하도록 하여, 원근(遠近)의 백성들에게 부역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且越海行兵, 備經難阻, 或斃鋒刃, 或遭沉溺, 追想非命, 有悼於懷. (···) 前令三十六州造船舫者, 今欲總停, 使遠近百姓無役, 豈不善邪.
- 『책부원구』 권142, 제왕부142 미병(弭兵) -
그리고 당고종은 여기에 다음과 같이 답했습니다.

지난날 선제의 뜻을 받들어, 백성들의 치욕을 갚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수년 동안 요해(遼海)에 병사를 보냈는데, 비록 흉악한 무리를 없애고 포악한 무리를 평정하였지만, 의(義)가 나 자신에서부터 이지러져, 사람들을 지치게 하고 재물을 고갈시켰으며, 아래에서는 부역[役]이 심해졌다. 바다의 물결에 떠서 멀리 건너가고, 위험한 길을 밟아 멀리 습격하였으나, 바람이 거센 바다에서, 혹 (병사들이) 물에 빠져 죽기도 하였고, (적과) 서로 무기[鋒鏑]를 휘두르다가, 객사하고 쓰러진 자도 없지 않았다.
往爲奉成先志, 雪恥黎元. 是以數年之間, 稱兵遼海, 雖除㐫戡暴, 義匪諸身, 疲人竭財, 役興於下. 泛滄流而遐濟, 踐危途而遠襲, 風之競駭, 或取淪亡, 鋒鏑交揮, 非無捐仆.
돌아보건대 이는 부덕[匪德]으로, 전쟁[事]이 70년[七旬] 만에 어그러졌으니, 나에게 책임이 있으며, 진실로 사해(四海)에 부끄러움이 이르렀다. (···) 이전에 36주에서 배를 만들어 동방 원정[東行]을 대비하도록 명령했던 것을, 이제[卽] 마땅히 모두 중지하도록 하겠다.
顧惟匪德, 事有乖於七旬, 在躬延責, 情致慙於四海. (···) 前令三十六州造船已備東行者, 卽宜並停.
- 『전당문』 권12, 「파제주조선안무백성조(罷諸州造船安撫百姓詔)」 -
황제의 이러한 고백을 읽은 뒤에 돌아보면, 우리는 연개소문의 마지막 싸움이 고구려가 수·당과 항쟁한 70년을 짊어진 것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그 최후의 승첩으로 말미암아 당고종의 조정이 혼란에 빠졌고, 제국의 군사력이 이완되었으며, 고구려의 세력권은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확대되었다는 것은 이미 전편에서 언급하였습니다. 666년의 봉선은 이 70년 전쟁의 결과를 공인받는 장이었으며, 고구려는 그 직전까지 거의 성공할 뻔했습니다. 그것이 2차 고당전쟁을 3차 고당전쟁과의 연속선상에서 바라보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돌이켜보면 수·당대의 국제정세는 늘 이런 식이었습니다. 수나라의 욱일승천하던 기세가 고구려로 말미암아 꺾인 다음에 돌궐이 흥성했고, 이에 당태종은 돌궐에서 시작해 사방을 위압했죠. 훗날 당태종이 안시성에서 실패한 뒤에는 다시 설연타를 시작으로 토번·돌궐·고구려가 당나라의 패권을 위협했고, 당고종은 다시 돌궐을 복속시켜 사방을 제압하려 했습니다. 그리고 당나라가 재차 고구려에서 실패하자, 이번에는 거란·해·철륵에 대한 지배력이 이완되고 토번이 돌궐과 연계하며 강성해지기에 이르렀고요. 기미지배는 본질적으로 이러한 한순간의 부침을 반복할 수밖에 없는 체제였고, 고구려는 극적인 전기마다 등장해 흐름을 돌려놓았습니다. 그리고 2차 고당전쟁은 그 강렬한 저항의 절정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것을 전제한다면, 결론적으로 2차 고당전쟁에 대해 처음와 같이 말하는 것은 가능해 보입니다. 이 글의 처음이란 물론 글의 제목을 가리키며, 그것은 사실상 이 길고 지루한 연재를 거치기 이전과 특별히 달라진 바가 없는 평가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같은 결론에 대해서도 더 안심할 수 있거나, 조금이나마 해박해질 수 있거나, 보다 적절한 입장을 취할 수 있다면 무엇에든 의미란 존재하게 되는 것이겠지요. 그렇기에 앞선 질문에 대한 본고의 대답을 여기에 적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2차 고당전쟁은 승첩이다.” ]

나머지에 대해서는 각자 생각하는 바가 있을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17 11:10
수정 아이콘
아 그동안 잘 읽었습니다. 이건 아무리봐도, 제대로 각잡고 만든 논문을 풀어서 연재한 것으로 보이는데, 피지알 특유의 좋은 역사글 하나를 접하게 되었네요.
특별히 조선이 아니라서 더 좋았습니다.

저의 감상평은 나라의 모든 복잡하고 어렵고 수고로운 일이, 때로는 한 가정의 갈등하나로 모두 허사가 되고 망하는 수도 있군요. 수신제가평천하 고래의 격언이 과연 잘 맞는 사례겠네요. 물론 그하나만 원인은 아니지만, 큰 불씨 정도는 되겠지요.

그래도 이를 보니까, 고구려는 마치 당대 중국황제로써는 반드시 굴복시켜야하는 대대에 걸친 어떤 사명 수준이었네요. 고구려는 거기에 정말 버티고 버티고 버티다 결국 스러졌지만, 당시기준 세계최강국(추정)에 맞장떠서 여러번 승리한 진짜 징하고도 강했던 우리의 역사네요.

글 쓰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3/17 11: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고구려 멸망당시 호수로 나오는 70만이 사실이면 수가 마지막으로 멸망시켰던 남진보다도 많은 호수라서...저정도 국가가 만주에 있는게 스트레스이긴했을거같은...
닉네임을바꾸다
24/03/17 11:15
수정 아이콘
저렇게 쏟아붓고해서 결국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만주를 장악하려했으나 그 뒤 발해건국을 막지 못한거보면...당은 정말 얻은게 미묘한거같기도하고...
24/03/17 11:21
수정 아이콘
많이 배웠습니다.

제가 려수/려당 전쟁을 보면서 얻은 교훈은 두가집니다.
1. 중국의 전략이 상대 멸망으로 잡히면, 우리가 아무리 빌어도 소용없다. 연개소문이 백금도 바쳐보고 미녀도 바쳐보고 봉선도 따라가보고, 그 앞에서는 경관도 헐어보고 별짓 다 해봤지만 소용없었죠.
2. 우리가 아무리 잘 싸워도, 체급이 큰 중국이 전력을 기울이면 결국 진다. 전쟁을 막기 위해서는 우리가 죽으면 너도 죽는다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

개인적으로 미국과 같은 강력한 동맹을 갖추고, 기회가 닿으면 핵무장을 해야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14년째도피중
24/03/17 15: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참 역사란 미묘하고 허망합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광개토대왕의 정복사업이란 것도 이후의 정지작업, 유리하게 흘러갔던 국제상황등이 없었더라면 설명해주신 2차 고당전쟁과 무엇이 달랐을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지요. 역사인물을 코에이식 능력치를 매겨가며 판단하기 십상인 우리네 시각으로는 속단하기 어려운 것이 너무도 많습니다. 하물며 고대 일부분의 사례를 통해 바로 작금의 상황에 해답을 내놓으려는 성급함은 더더욱 우려스럽고요. 같은 배경속에서 서로 다른 결론을 이끌어내는 역사속 사례들이 얼마나 많은가요.

그런 의미에서 간만에 고찰할 것이 많은 게시물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글 종종 올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과거에 쓰셨던 글들도 좋습니다.
솔직히 댓글이 많이 달릴거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이런 글을 만나는 랜덤 이벤트도 있어야 자게 할 맛도 좀 나고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24/03/17 17:57
수정 아이콘
노력...해 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기반찬
24/03/17 23:05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이른취침
24/03/18 17:36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합니다.
24/03/18 19:5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라주미인
24/03/18 21:43
수정 아이콘
정독했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172 [일반] 모스크바 콘서트장에서 대규모 총격테러 발생 [36] 복타르15352 24/03/23 15352 0
101170 [일반] 대한민국은 도덕사회이다. [58] 사람되고싶다14330 24/03/22 14330 30
101168 [일반] 올해 서울광장서 6월 1일 시민 책읽기 행사 예정 [46] 라이언 덕후12552 24/03/21 12552 1
101167 [일반] 러닝시 두가지만 조심해도 덜 아프게 뛸수 있다.JPG [43] insane16317 24/03/21 16317 18
101166 [일반] 이번에 바뀐 성범죄 대법원 판례 논란 [94] 실제상황입니다15903 24/03/21 15903 9
101164 [일반] 이건 피지알러들을 위한 애니인가..?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감상(스포 조금?) [28] 대장햄토리9446 24/03/21 9446 3
101163 [일반] 박노자가 말하는 남한이 사라진 가상 현대사 [102] 버들소리14474 24/03/20 14474 2
101162 [일반] 참으로 안 '이지'했던 LE SSERAFIM 'EASY'를 촬영해 봤습니다. :) [14] 메존일각7776 24/03/20 7776 9
101160 [일반] 삼성전자 990 프로 4TB 42.8만 플스 5 호환 O 떴습니다 [55] SAS Tony Parker 11362 24/03/20 11362 1
101159 [일반] [역사] 가솔린차가 전기차를 이긴 이유 / 자동차의 역사 [35] Fig.112561 24/03/19 12561 34
101158 [일반] 일러스트레이터 이노마타 무츠미 사망 [17] Myoi Mina 34548 24/03/19 34548 1
101157 [일반] [번역글] 추도:토리야마 선생 희대의 혁명아가 걸어온 진화의 길 [13] Starscream8431 24/03/19 8431 8
101156 [일반] 자애와, 동정과, 역겨움을 담아 부르는 ‘가여운 것들’ (스포일러 주의!) [10] mayuri8023 24/03/19 8023 2
101154 [일반] 평범한 개인 투자자는 주식을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가? [76] 사람되고싶다14018 24/03/18 14018 15
101152 [일반] 해외직구는 좋지만... 역차별 받는 국내 수입업자들? [123] 아서스21323 24/03/18 21323 6
101151 [일반] 슬램덩크 극장판을 얼마전에야 봤습니다. [35] rukawa10091 24/03/17 10091 0
101150 [일반] meson님이 올려주신 연개소문의 승첩에 대한 글을 보니 떠오른 기억이 있습니다. [2] 니드호그6826 24/03/17 6826 7
101149 [일반] 쓸때없이 맥북프로를 산 의식의 흐름과 10일 후기 [30] 한국화약주식회사9149 24/03/17 9149 1
101148 [일반] 이엠텍 4070 슈퍼 78만 핫딜+3D Mark 할인. 그 외 잡설 [30] SAS Tony Parker 9257 24/03/17 9257 2
101147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9. 나가며 [10] meson6266 24/03/17 6266 15
101146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8. 태산봉선(泰山封禪) [6] meson8091 24/03/16 8091 13
101145 [일반] (스포)요즘 본 영화 감상​ ​ [4] 그때가언제라도7862 24/03/15 7862 0
101144 [일반] 제게 초능력이 생긴다면, 이 세상 사람들 모두가 영원히 살도록 할겁니다 [51] 보리야밥먹자13831 24/03/15 1383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