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3/22 14:08:41
Name 밤식빵
Subject 매출을 순이익보다 많이 언급하는 이유는 무었때문일까요?
항상 궁금해왔던거이긴 하는데 갑자기 매출관련이야기가 나왔는데 다른분들도 잘 몰르는것 같더라구요.

방송에 나와서 이야기하는거나  회사에서 일할때나 매출을 얼마올렸는지를 중요시하는데

1000억 매출을 올려도 140억 적자면 결국 엄청 손해이고 1조매출을 올렸어도 순이익이0원이면 의미가 없다고 보는데..

왜 매출만 언급하고 순이익은 이야기 안해주는지 잘몰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22 14:11
수정 아이콘
많아보이려고?
켈로그김
12/03/22 14:12
수정 아이콘
순이익도 중요하긴 한데,
매출이 영업상황을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말이기도 하고,
또한 자금운용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이니까요.

무엇보다, 순이익은 영업기밀(?)에 해당하므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언급하지 않는 것이죠.
적으면 적다고 손가락질하고, 많으면 도둑놈들이라고 욕하거든요..
Kemicion
12/03/22 14:13
수정 아이콘
매출 = 업계에 미치는 영향력이랄까요?
때문에 여러 가지 상황들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되죠. (규모의 경제 등등.)
규모가 크다는 게, 결과적으로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Go_TheMarine
12/03/22 14:14
수정 아이콘
클릭수 높이려고요.
12/03/22 14:16
수정 아이콘
매출하고 순이익을 공개하면 마진이 나오니까요. 마진이 나오면 세무조사가....
라리사리켈메v
12/03/22 14:21
수정 아이콘
소비자들 혹은 일반 대중에게는 그 기업의 주력 산업이 중요한 것이지 기업자체의 특성이 중요한게 아니거든요.
순이익이 궁금한 일부 특수한 정보이용자들은 기업 재무제표 보면 바로 알 수 있기도 하구요.
밤식빵
12/03/22 14:26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 머리로 정리할려면 시간이좀 걸리겠지만 이제 좀 이해됩니다..
지구사랑
12/03/22 14:28
수정 아이콘
사실 순익은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회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고 경기에 따라 극심하게 변할 수도 있습니다. 애당초 업종에 따라 순익률 자체가 편차가 심합니다. 때문에 회사의 크기, 능력 등을 분석할 때 일단은 매출을 보고, 다음으로 순익을 보는 게 보통입니다.
예를 들어 매출 10조원인데 경기가 좋지 않아 순익이 1억원밖에 되지 않는 회사라도 경기가 좋아지면 순익이 1000억원이 될 수가 있겠지만, 매출이 50억원에 순익이 10억원인 회사가 순익 1000억원을 만드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죠. 조금 예가 극단적인 느낌은 듭니다만...
12/03/22 15:30
수정 아이콘
매출은 순이익이 보여주지 못하는 규모를 알려주죠. 똑같이 1억의 순이익이 났다해도 매출 10억인 곳과 100억인 곳은 다릅니다. 규모가 큰 곳은 그에 맞추어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경제에서 더 큰 이득을 창출하죠. 더욱이 순이익슬 구할 태 제하는 비용 중에 인건비가 들어가므로 순이익이라는게 자본의 이득만 표시하는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순이익이 보여주지 못하는 부분을 매출은 보여줍니다
12/03/22 16:25
수정 아이콘
본문을 보고 매출은 규모를 보여주는 것이라 말씀드리려 했는데 네오님이 말씀해주셨네요 ^^;
루시안
12/03/22 16:55
수정 아이콘
매출 = 판매량은 아닙니다. 기업체에서의 매출이라함은 보통 생각하시는 수금이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즉, 현금 유동성에 대한 문제인 것이지요, 작년 12월에 1000억원을 팔아서 선수금 10%, 100억이 작년 매출이 되고 나머지 90%가 올해 매출이 되는 그런 경우도 있긴 하지요.

규모에 대한 문제라면 매출을 말하지 않습니다. 수주금액을 얘기하지요. 플랜트업계에선 그렇습니다.
초보저그
12/03/22 17:4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매출 대비 순이익이 많은 회사가 없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순이익도 많다면 보통 매출 얼마 순이익 얼마라고 자랑하더군요.
너는나의빛^^
12/03/22 18:50
수정 아이콘
사업하는데 보여주는게 아주중요한데..
이를 위해 제일 좋은게 매출이랑 순이익인데..
첫번째로 매출은 당연히 순이익보다 규모가 크죠... 누군가에게 알릴때 그 숫자를 무시할수 없습니다.
둘째로 순이익이 큰 회사가 드뭄니다...
특히 힘이 약한 중소기업의 경우 정보력도 강한 대기업이 최대한 원가에 맞추기 때문에 매출이 좀 되도 순이익은
형편없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대기업의 경우도 이것저것 돈 쓰는데가 많아서 순이익으로만 하면 형편없는 경우도 많구요.
보통 사업하는 사람들은 돈을 번다기보다 일단 규모가 어느정도 되면 굴러가는 걸 목적으로 하더군요.
아레스
12/03/22 20:21
수정 아이콘
매출의 크기는 사업규모가 크다는걸 말하는거죠..
순이익도 중요하지만, 사실 영업이익이 더 중요하구요..
매출은 그 순이익과 영업이익의 파이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할수있는 척도라고도 할수있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074 [LOL] 이거 제가 정글러에 대해 잘못 생각한 건가요?? [31] 아크1986 12/03/22 1986
130073 아이튠즈 동기화 질문입니다 [8] 낭만토스1444 12/03/22 1444
130072 춘천시내 닭갈비집 추천좀 해주세요 [8] 블루드래곤1883 12/03/22 1883
130071 [SQL] 종류가 다른 것들을 동시에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은? [4] 율이1300 12/03/22 1300
130070 실망해보지 않은 정치인이 있으신가요? [23] 아나키2115 12/03/22 2115
130069 탈수증에 뭐가 좋을까요? [4] 마에1294 12/03/22 1294
130068 스쿠터 구매를 하고 싶습니다(완전 초보) [4] 빵pro점쟁이1651 12/03/22 1651
130067 현금영수증에 대해 궁금합니다. [5] 한지운2181 12/03/22 2181
130066 카사딘 살만할까요.. [5] 릴리러쉬.2135 12/03/22 2135
130065 LOL 룬관련 질문입니다~ [6] 잠이오냐지금1617 12/03/22 1617
130064 스타크래프트2 최강국도 한국인가요? [5] 케이스트2108 12/03/22 2108
130063 조립pc를 처음으로 구매해보려고 합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5] 효민1787 12/03/22 1787
130062 슈퍼주니어 규현의 스타 실력은 어느정도 일까요?? [6] 패션왕6029 12/03/22 6029
130061 마음이 아플때 먹는 약 추천해주세요. [15] 스머프2685 12/03/22 2685
130060 저 이 노래 제목 좀 알려주세요 [2] 개신1688 12/03/22 1688
130059 청량리 시립대 외대 근처 술집좀 추천해주세요~ [3] 댕굴1750 12/03/22 1750
130058 윈도우7 중복 사용이 가능한가요? [3] 낭천3681 12/03/22 3681
130057 결혼식 예도 관련입니다. [2] 57thDiver5596 12/03/22 5596
130056 스마트폰 게임 `종횡천하`를 하고싶습니다. [2] 계륜미1747 12/03/22 1747
130055 하이킥3 재밌게들 보고 계시나요? [22] 계란말이1816 12/03/22 1816
130054 매출을 순이익보다 많이 언급하는 이유는 무었때문일까요? [21] 밤식빵1933 12/03/22 1933
130053 왜 게임만 현실과의 구별을 못한다는 걸까요? [9] 오프라인표시1690 12/03/22 1690
130052 집에서 컴퓨터 2대 다 인터넷 쓰려면 추가요금 내야하나요? [12] 낭만토스11632 12/03/22 116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