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12/22 09:46:16
Name 김연아
Link #1 youtube
Subject [월드컵] 펠레와 마라도나에게 가해진 반칙 수준 (수정됨)
선수 교체에 관한 룰의 변천사를 다룬 서형욱 해설위원의 글과 영상입니다.
영상을 보시면, 펠레가 대충 어떤 반칙을 당했는지, 그리고 반칙을 그런 반칙을 당하고도 어떻게 굴려졌는지가 잘 나오죠.
전성기 나이 때 국대 은퇴해버린 심정이 이해가 갑니다.
뒤의 영상은 파울 모음집 중 하나입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60&aid=0000001417





글과 영상에 나온 바와 같이, 에이스를 담그면 급격히 유리해지기 때문에, 펠레는 담궈졌고, 그 결과 62월드컵은 1경기 뛰고 부상으로 나머지 경기 결장, 66년은 포르투갈전에서 펠레가 교체도 못하고 절뚝거리며 뛰다가 결국 지면서 탈락했죠.
62년은 가린샤의 월드컵이 맞긴 한데, 펠레가 할 말이 없는 건 아니었죠. 아니 원래 내가 브라질 에이스였다고;;;
66년은 펠레 입장에서는 할말하않, 나중에 복귀하긴 하지만 결국 국대 은퇴를 선언하기에 이릅니다.
암튼, 이런 과정들이 하나의 계기가 되면서 70년에 옐로카드, 레드카드, 2명의 교체 등등 룰이 개정이 됩니다.



생생하게 컬러 화면으로 남은 마라도나의 월드컵 파울 모음집입니다.
우리나라의 태!권!수비도 남아있죠ㅠㅠ
82 아르헨티나 경기들 보면, 이  때 아르헨티나가 좀 부진한 것도 있고 해서, 무슨 경기 자체가 마라도나 파울 스페셜 같은 느낌을 받을 때도 있습니다.
마라도나의 가장 대단한 점은 손보다 더 공을 잘 다루는 듯한 신내린 개인기나, 받는 선수 앞에 편안하게 떨어지는 패스의 질, 시야 뭐 이런 게 아니라, 저렇게 당하고도 계속 선수생활을 지속한 몸뚱아리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체크카드
22/12/22 10:0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두번나오네요
아파하는 모습이 오버하는게 아니고 찐이네요
22/12/22 10:02
수정 아이콘
좀더 첨언을 하자면, 옐로/레드카드 이전에도 경고/퇴장은 있었으나 이를 심판 구두로 선언하다 보니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서 언어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도입한 거라고 하네요.
개발괴발
22/12/22 10: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백태클이 퇴장이 된 게 98년도 월드컵부터였던 걸로... (하석주 ㅠ0ㅠ)
그 이전에는 옐로 한 장 정도 받고 백태클로 에이스 담그는 게 심지어 정석 수비던 시절이었지요.
골키퍼 백패스 그랩도 허용되던 시절이라 파이널 서드에서 수비에게 공 빼앗기면 바로 골키퍼 백패스->공격기회 소멸 이었고.
WeakandPowerless
22/12/22 10:12
수정 아이콘
마라도나... 신의 손 인정합니다... 저 정도 당했으면 그렇게 골 넣어도 킹정...
메시가 GOAT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겠으나, 저런 환경에서도 그런 커리어와 실적을 쌓았던 펠마는 인정을 안 할수가 없네요;;
페스티
22/12/22 12:41
수정 아이콘
전설의 6명을 제친 골은 잉글랜드 수비수들의 매너를 지킨 스포츠맨십 덕분이라는 말도 했었죠
동년배
22/12/22 10:15
수정 아이콘
테니스의 페나조 장기집권이 개인능력이 뛰어는 것도 있지만 그 재능을 유지시켜주는 스포츠 과학 발달 덕분이듯이
축구에서 선수생명 길어지는 것도 저렇게 선수를 보호하는 룰이 계속 생겨나는 덕분이어서 예전 선수들의 활약이나 누적스탯을 저평가 해서 안되는 이유죠. 음주흡연약물은 당장 잘하고 있으면 크게 문제시 하지 않던 시대이기도 하고요.
샤르미에티미
22/12/22 10:56
수정 아이콘
문득 WWE가 떠오르는데 요즘 선수들이 당연히 기술적으로나 종합한 퍼포먼스나 몸 관리나 훨씬 뛰어난 면이 있죠. 하지만 예전에는 시전 난이도는 낮지만 부상 위험도는 높은 기술들을 막 구사했고, 부상 방지나 재활, 약물 관리도 허술했죠. 그러다 보니 단명하는 선수들도 많았고 회복 불가인 부상도 많이들 당했죠. 그러니까 겨우 탑로프도 아닌 레그 드랍이 피니쉬고 바디 프레스가 피니쉬인 예전 경기가 시시해 보일 지는 몰라도 그 당시대로 힘든 환경이었다는 거죠.
반면 이런 면도 있습니다. 환경이 아무리 열악하던 뭐건 간에 그 상황에서도 독보적인 존재는 나온다는 것입니다. 쉽게 나오지 않고 10년에 1명도 나올까말까 하지만 결국에는 나오죠. 저 당시 전반적인 환경을 생각하면 특별히 축구라고 더 열악한 상황도 아니었고요. 펠레나 마라도나가 더 견제 당하고 공격도 많이 당한 건 맞지만 다들 그렇게 당하는 환경이었으니 저는 그 자체에 특별한 가산점을 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시대 보정은 해야 하는 거고 그 시대에 독보적인 선수였으면 그 자체로 인정하면 된다고 봅니다.
아우구스투스
22/12/22 11:00
수정 아이콘
62년 월드컵 웃긴점

가린샤가 준결승 칠레전에서 퇴장을 당했으나 결승 상대 체코슬로바키아가 괜찮다 해서 출전

심지어 당시 퇴장 이유가 상대에게 보복성 발길질하다가 퇴장당했는데 얼마나 고대인지 새삼 느껴지죠.
라방백
22/12/22 11:50
수정 아이콘
펠레가 골키퍼로도 뛰었다는 기록이 의아했는데 저 당시면 전법에 따라 골키퍼를 담궈 버릴수도 있었겠네요...
아우구스투스
22/12/22 12:28
수정 아이콘
그건 교체가 정립이 안된게 큽니다.

그래서 경기 중 골키퍼 부상 시 교체가 아니라 필드플레이어가 대신 뛰었죠.
시나브로
22/12/22 12:36
수정 아이콘
위에 '마라도나 피파울' 글 보고

https://ppt21.com/spoent/55197 2020년 마라도나 돌아가셨을 때 이 글 영상이 생각나서 구글에 검색했더니 3시간 전 올려진 이 게시물이 나오네요 흐흐;
22/12/22 15:58
수정 아이콘
메시가 고트는 맞지만, 만약 저런 야만(?)의 시대에 태어났다면 재능을 꽃피워 보기도 전에 부상으로 은퇴했을지도 모를 일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161 [월드컵] 펠레와 마라도나에게 가해진 반칙 수준 [12] 김연아9403 22/12/22 9403 0
73135 [월드컵] [이벤트] 망해 버린 이벤트, 메시우승기념 당첨자 확인 [8] 이혜리6220 22/12/21 6220 0
73126 [월드컵] 월드컵 우승 후 인스타 게시물 난사 중인 메시 [32] 흰긴수염돌고래9559 22/12/21 9559 0
73122 [월드컵] 피파가 추진하고 있는 또 다른 월드컵 변화 (feat. 돈독) [40] 우주전쟁9328 22/12/21 9328 0
73119 [월드컵] 메시가 다음 월드컵에도 나오면 세우게 되는 대기록... [38] 우주전쟁11022 22/12/20 11022 0
73109 [월드컵] 업데이트된 월드컵 통산 득점 순위 [8] 손금불산입7309 22/12/20 7309 0
73099 [월드컵] #WorldCup 소셜미디어 언급 TOP 10 인물 [6] 어강됴리6310 22/12/20 6310 0
73088 [월드컵] 내년 여름에 또 열리는 월드컵 [13] 우주전쟁7711 22/12/20 7711 0
73086 [월드컵] 옵타, 골닷컴 선정 카타르 월드컵 베스트 11 [17] 손금불산입7916 22/12/20 7916 0
73081 [월드컵] 2022 월드컵 각 대륙별 최종 성적 [7] nearby6985 22/12/20 6985 0
73066 [월드컵] 브라질에게 진짜 빡쳤던 로이킨....'춤은 아르헨티나처럼 춰야한다' [64] OneCircleEast12743 22/12/19 12743 0
73065 [월드컵] 그래도 아직은 브라질... [17] 우주전쟁8614 22/12/19 8614 0
73062 [월드컵] 강화성공 [12] 어강됴리9993 22/12/19 9993 0
73061 [월드컵] 반박할 수 없는 메시가 최고가 아닌 점.gfy [54] 손금불산입11933 22/12/19 11933 0
73060 [월드컵] 조규성 보그 코리아 표지 [15] 어강됴리8913 22/12/19 8913 0
73055 [월드컵] 카타르 월드컵 결승에서 쓰여진 기록들 (데이터) [18] 손금불산입5819 22/12/19 5819 0
73053 [월드컵] 앞으로 음바페가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기록... [39] 우주전쟁7978 22/12/19 7978 0
73052 [월드컵] 결승전 개인적인 단상들 [33] 안아주기7325 22/12/19 7325 0
73051 [월드컵] KBS는 4년전과 비교해서 시청률이 얼마나 떨어진걸까? [31] Leeka9030 22/12/19 9030 0
73050 [월드컵] [월드컵]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 시청률 16.8% [26] 강가딘8548 22/12/19 8548 0
73048 [월드컵] KBS, 스포츠 국장 보직해임... 월드컵 중계방송 전쟁 참패 탓 [95] Davi4ever12055 22/12/19 12055 0
73047 [월드컵] 결승전 주심 후보에 엔서니 태일러도 있었나네요 [6] 강가딘7863 22/12/19 7863 0
73045 [월드컵] 재평가되는 국가 [14] TheZone9239 22/12/19 923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