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1 10:28:22
Name 샤크어택
File #1 Screenshot_20240521_100755_Brave___Beta.jpg (488.5 KB), Download : 367
Link #1 https://v.daum.net/v/20240519103901583
Subject [질문] '기실'이라는 단어 사용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어떤 기사를 읽다가 <기실> 단어가 눈에 들어와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궁금증을 올려봅니다.

캡쳐 첨부한 <기실 그도 아침을 거른 듯 했다.>에서의 기실인데, (기사의 대략 내용은 며칠 전 518 기념식 행사에서 어린 학생들을 새벽 5시반부터 깨서 오게끔 동원했는데 낮까지 물이나 간식도 안 줬고 너무 소모성 보여주기식 동원이었다 비판입니다.) 여기서 기실의 뜻은 사실, in fact 겠습니다.

저(위로 쭉 서울 사람)는 기실이란 말을 초~대학 사회생활 내내 누가 쓰는 걸 들은 적도 없고 그 존재도 몰랐습니다. 학교 교과서에도 없었을 듯 하고요. 그러다 몇년 전까지 중국에서 생활을 했는데, 교류한 조선족 분들 가운데 중국어의 해당 표현인 其实(qishi)를 한국식으로 읽은 '기실'을 조선어/한국어 구사시에도 사용하는 경우를 은근히 봤습니다.

코로나 때 귀국했는데 아주 가끔 웹상에서 오늘처럼 '기실'이란 단어를 보게되네요.

저는 넌지시 이게 조선족 인구의 국내 온/오프라인 생태계 유입이랄지 언어의 자연스러운 이동 같은 걸까? 생각했습니다만, 혹시 어떤 지역 생활권이나 가정 내에서는 수십년 전부터도 원체 쓰이던 말일까? 궁금하기도 해서요. 혹시 이와 관련한 무언가 <어? 난 어디 지역 사람인데, 어릴 때부터 이동네는 그 단어 다 썼지.>, <나도 같은 서울 사람인데 나랑 친구들은 쓰는 말인데> 등 같은 게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이와 별도로 <외지인>이라는 말도 저는 중국어를 처음 익힌 2015년에야 처음 알게되었고 중국가서 생활하다 어느 조선족 분이 "한국에서는 외지를 뭐라고 했죠?"라고 어떤 맥락 중(그 분이 어떤 한국에 있는 한국인과 통화를 하는 중, 외지인이라 말을 하니 상대가 못 알아들었습니다.)에 물어, 옆에 있다 "아.. 타지요." 라고 답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한국 기사들을 보면 외지인 이란 말도 심심치 않게 많네요. 부동산 외지인 거래 비중 이럴 때랄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모이맨
24/05/21 10:33
수정 아이콘
실제로 써본적도 쓰는사람 본적도 없지만 기실이라는 단어자체는 책에 많이 나오지 않나요?한 중학생때 읽었던 책에서도 있었던 거 같은데
24/05/21 10:34
수정 아이콘
기실은 엄청 많이 쓰는 문어체인데요. 교양있는 지성인이라면 누구나 책에서 수없이 접해봤을 단어일텐데요...
동네슈퍼주인
24/05/21 10:37
수정 아이콘
네 꽤 씁니다. 표준국어대사전만 찾아보셔도 최근에 갑자기 사용되는 단어가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는데요.
jjohny=쿠마
24/05/21 10:37
수정 아이콘
조선족 유입과 상관 없이 오래 전부터 접해 왔습니다.
구어체에서는 한 번도 접해본 적 없는 것 같고, 문어체에서는 종종이요.
24/05/21 10:39
수정 아이콘
옛날 책에서 좀 본거 같네요
티아라멘츠
24/05/21 10:41
수정 아이콘
저건 꽤 쓰는 단어입니다. 문어체에선 오래전부터 종종 봤는데
허락해주세요
24/05/21 10:42
수정 아이콘
서울 강동구 쪽 사람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기실"은 어색하다는 느낌은 전혀 없고, 옛날 분들이 쓴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외지라는 말은 안 쓰고 타지라는 말을 쓰지만, "외지인"이라는 말은 저도 자주 쓰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타지인이라는 말 보단 타지 사람이라는 말이 더 익숙하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이것도 개인적인 느낌인데, 타지 사람이라고 하면 제 경우엔 제 고향사람이 아닌 사람(=강동구 사람 아닌 사람)을 의미하는 것 같고, 외지인이라고 하면 그냥 그 동네 밖에서 온 사람이라는 느낌이 있습니다.(ex. 제주도에 간 강동구 사람)

이걸로 조선족 얘기까지 나오는 건 저한테는 약간 어색하네요. 나오는 말들이 이상하다는 느낌이 없어서요.
샤크어택
24/05/21 10:49
수정 아이콘
제가 조선족 얘기를 한 된 것과 그게 이상하게 비춰질 수 있는 것은 이 질문 배경이 순전히 제 개인 경험에 의거한 추정이었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선 중국인, 조선족을 비하하는 기류가 적잖은데 저는 해당 지인도 많은 만큼 그런 것도 아니고, 동북공정 같은 것도 당연 아닌 순수한 궁금증이었습니다. 이해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외지인/타지인 부분 포함한 자세한 댓글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허락해주세요
24/05/21 13:18
수정 아이콘
예 뭐 비하라든가 그런 느낌은 전혀 아니었습니다. 걱정 안하셔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회색사과
24/05/21 10:45
수정 아이콘
중고교 문학에서 자주 봤던 표현입니다 흐흐
제가 나이가 있어 요새 교육에 안 나오는 표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cruithne
24/05/21 10:53
수정 아이콘
문학 교과서에 많이 나오는 단어인데요....구어체로 쓰는사람은 거의 없어도
사람되고싶다
24/05/21 10:53
수정 아이콘
확실히 구어에서 쓰는 말은 아닙니다. 근데 문어로는 은근히 자주 쓰는 표현이죠. 장담컨대 '명징'보다 훨씬 많이 쓰는 단어에요.
샤크어택
24/05/21 10:57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문어체 어휘로 흔히 쓰이는군요. 저도 살아오며 각종 서적을 적지 않겐 읽어온 편이라 생각하는데, 앞서서는 해당 단어에 주의를 두지 않았나 봅니다. (댓글 중 '교양있는 지성인이라면 누구나'라셔서 심적 가드 좀 슬쩍 올립니다.) 국어사전도 물론 봤습니다만, 사전에 정의와 용례가 있는 것과, 死語도 있듯 실사용은 별개라 봐서 질문 드렸습니다.
24/05/21 11:01
수정 아이콘
몰랏던 단어임다 감사합니다
친친나트
24/05/21 11: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실은 옛스런 표현이네요. 생경하진 않습니다. 기실, 외지인 둘 다요.(서울출신)
+저는 중국어 전공자인데(잘하진 못합니다. 중포자라..) 과거로 올라갈수록 한국어-중국어간에 한문에서 나온 공통표현이 많다고 느낀 바가 있긴 합니다. 현대 한국어가 자체적인 한자어의 의미변화, 일본식 한문표현 유입의 영향을 받은것 같아요.
그리고 한문과 중국어의 차이를 모르는 젊은 세대들이 비슷한 형식의 오해를 하는 경우는 인터넷 짤 같은거로 여러번 본것 같네요. ex)금일? 그거 중국어 아님? 중국인 조선족 아웃!
24/05/21 11:07
수정 아이콘
저도 꽤 친숙한...
24/05/21 11: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실은 문어체로 쓰이는 단어고
외지와 타지는 뉘앙스가 조금 다른 단어입니다. 영어의 external-외, another-타 가 대응되며
순우리말로 바꿔보면 외지인-바깥동네사람, 타지인-다른동네사람 으로 쓸 수 있겠죠. 원래부터 있었고 상시 사용되던 단어입니다.
24/05/21 11:29
수정 아이콘
꽤 듣거나 본 단어긴 합니다.
타카이
24/05/21 11:30
수정 아이콘
좀 지난 소설들에서는 자주 보던 표현입니다.
요즘 웹소 같은데선 잘 안보이죠
중후한 무협지엔 있을지도
이민들레
24/05/21 11:36
수정 아이콘
처음들어봅니다.
distant.lo
24/05/21 11:54
수정 아이콘
어릴 때 부터 알던 단어입니다 책에서 많이 봤겠죠? 실제로 입으로 내뱉어 본 적은 없는 듯
원주민
24/05/21 11:56
수정 아이콘
책으로 본 적은 있은데 요즘은 접하기 힘든 표현같아요
R.Oswalt
24/05/21 11:58
수정 아이콘
일상적인 구어 상황에선 안 쓰지만, 문어체로 쓸 땐 꽤 나오곤 합니다.
조선족이나 중국 유학생이랑 밀접하게 접할 일이 없다보니 이런 시각이 또 신기하게 보이네요.
샤크어택
24/05/21 12:10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어쩌면 과거에 a.. a.. a..처럼 뜨문 뜨문 기실 단어를 책에서 접한 적이 있을 수 있는데, 중국어/조선족과 밀접히 A A A 처럼 한동안 접했더니 과거 a..가 기억에서 덮여버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거기 말로는 "사실은~"에 해당할 흔한 구어체 표현이어서요. 재밌네요. 여기서 추가적 의문은 예로 첨부한 기사의 작성자 분이 기고글을 쭉 작성 중에 '기실'을 사용했는데, 아무리 문/구어체 구분이라 해도 저 지점에서 기실을 쓰는 분이면 어쩌면 구어에서도 기실이라고 말하지 않을까?가 궁금하긴 합니다.
인생을살아주세요
24/05/21 11:59
수정 아이콘
글에서 많이 보던 표현이에요. 말할땐 안쓰지만...
24/05/21 12:01
수정 아이콘
실제로 말은 거의 들어본적은 없지만
책으로는 일년에 한 두번 정도는 보는 단어 같습니다
닉네임여덟자기억
24/05/21 12:12
수정 아이콘
글에서는 가끔 보긴 하는데, 일상 생활에서는 들은 기억이...
24/05/21 12:16
수정 아이콘
격식체 글에서 종종 보네요.
책 많이 읽다보면 나옵니다.
척척석사
24/05/21 12:37
수정 아이콘
혹시 이런저런건가요? 하고 궁금해하시는 것만 해도 이미 상급이신 것 아닐까요
요새는 그런 말을 쓰는 너 중궈? 너 친일? 하고 선레이블링 박는게 트렌드인 것 같기도 해서 ㅠ 속터집니다
샤크어택
24/05/21 12:50
수정 아이콘
피지알은 그런 혐오/비하 툭툭 쏘는 게 그래도 비교적 매우 적어서 좋습니다. 다른 많은 곳엔 이런 질문 글도 무례한 댓글에 제가 언짢아 질까봐 (요새는 그러면 또 긁혔냐고 툭 조롱하죠.) 어디 못 쓰겠더라고요. 물론 피지알만큼 양질의 댓글도 없겠고요.
24/05/21 12:40
수정 아이콘
저도 친숙한 단어네요
아케르나르
24/05/21 12:52
수정 아이콘
2천년대 이전에 출간된 책에선 나올겁니다. 최근에 읽은 책들에서는 못 본 거 같네요. 외지인도 쓰는 말이에요.
취급주의
24/05/21 13:13
수정 아이콘
신문, 소설 가리지 않고 많이 나오는 단어라 익숙합니다. 특별히 어떤 색을 나타내는 단어는 아니네요.
24/05/21 13:18
수정 아이콘
제가 쓰진 않습니다만..
종종 보긴 합니다.
Karmotrine
24/05/21 13:23
수정 아이콘
은평구 토박이인데 자주 봤습니다. 종종 쓰기도 하고...
단다니 쿨쿨
24/05/21 13:2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일상 구어체에선 안쓰지만 뜻이 친숙한 단어" 정도 분류합니다

조선족이나 중국계에서 쪽이랑 연관있다고 생각해본적은 한번도 없고요
파고들어라
24/05/21 13:41
수정 아이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c6aaa35b20648d4b05318933ac01959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기실'이 들어가는 예문을 볼 수 있습니다.
이어령, 이문열, 염상섭 등등 옛날 문학, 2000년대 초중반 신문 등에서 인용해온 문장이 많습니다.
샤크어택
24/05/21 14:05
수정 아이콘
와.. 참 좋은 예문 발췌 섹션이 있었네요.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열혈둥이
24/05/21 13:49
수정 아이콘
산문집 , 사설 같은데서 많이 본거같아요
24/05/21 13:51
수정 아이콘
외지인은 진짜 많이 쓰고 기실은 문학작품에서 봤었네요. 
다리기
24/05/21 13:56
수정 아이콘
외지인은 개인적으로 쓰지 않는 말인데도 익숙하고
기실은 알긴 했는데 엄청 생소하네요.
소이밀크러버
24/05/21 14:00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보긴하네요.
24/05/21 14:00
수정 아이콘
소설 만화뿐만 아니라 영화나 드라마같은데서 뭔가 설명하는 해설역이 그런 말 많이 하지 않나요? 기실 뭐 어쩌고 해서 이건 이거고 저건 저거다 이런식으로
가성비충
24/05/21 14:11
수정 아이콘
앞으로 많이 안쓰겠다 싶긴 하네요.
24/05/21 14:12
수정 아이콘
다른거 다 필요없고 pgr에 기실 검색해보면 [기실] 이란 말이 안 쓰이는게 아닌데요?많이들 쓰시는데 그분들이 다 조선족/중국인일리가 없자나요..
(물론 기실이라고 검색하면 여기실 분들 뭐 이런식의 말도 있긴 합니다만 1페이지에 있는 글들 보면 그냥 기실이란 말도 많이 씁니다)
샤크어택
24/05/21 14:39
수정 아이콘
제가 쓴 원문 내용과 무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만한 댓글이네요. 다시 읽어 보시면 그런 뜻이 아님을 밝힙니다. 검색까지 해봐주신 점은 감사합니다. 이후 무언가에 유용한 접근법이 되겠네요.
24/05/21 14:41
수정 아이콘
아 저도 본문 글을 곡해해서 읽었네요;; 죄송합니다
어쩃든 제 생각에 "기실"은 주로 글로 읽을 떄 많이 보는 거 같고 사람끼리 대화하는 자리에선 (나이 좀 있으신 분들 제외하면) 많이는 못들어본 거 같습니다. 대화와 글에 따라 다른거 같습니다.
Far Niente
24/05/21 14:13
수정 아이콘
편견이라는 게 근원이 참 별 거 없으면서도 무섭다 싶네요
이런 기회가 아니었으면 계속 조선족, 중국 유래 표현으로 생각하고 사셨을 수 있으니..
저도 그런 게 없을까 반성해 봅니다
샤크어택
24/05/21 15:42
수정 아이콘
예.. 무지/분별오류가 노출 됨을 부끄러워 않고 질문 올린 덕에 몇년 간 '이런건가?' 하던 걸 바로 알고 넘어가 속이 시원하네요.
옥동이
24/05/21 14:14
수정 아이콘
제가 쓴적은 손에 꼽는데 들은 적은 그것보단 많은것 같습니다
미카미유아
24/05/21 14:26
수정 아이콘
책 많이 읽으면 자주 보지 않나요?
지구 최후의 밤
24/05/21 15:21
수정 아이콘
외지인은 이너서클 문화가 강한 시골에선 매우 흔하게 접하는 단어고 기실같은 경우는 자주는 아니지만 종종 접했던 단어입니다.
MurghMakhani
24/05/21 15:46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국어 배울 적에 곧잘 나오던 단어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일상 대화에선 잘 안쓰는 문어체 단어라서 낯설게 느끼실 수도 있을 거 같아요
Lapierre
24/05/21 16:02
수정 아이콘
저는 30대 이후로는 정말 책을 안읽는편인데도 (장르소설,참고서제외) 매우 익숙하네요.
24/05/21 17:45
수정 아이콘
PGR 나잇대가 보이는것 같군요
짐바르도
24/05/21 21:44
수정 아이콘
클란심
24/05/22 09:37
수정 아이콘
저는 기실은 들어는 본적 있다 정도긴한데 외지인은 엄청 많이 쓰는 단어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523 [질문] 제PC사양으로 디아4 돌릴수 있나요? [9] 자가타이칸352 24/06/03 352
176522 [질문] 아들 둘 데리고 오사카 3박 여행을 가려는데, 조언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17] 공염불454 24/06/03 454
176521 [질문] [만화] 명탐정코난 범인의 범행 동기에 관한 궁금증 [6] AminG268 24/06/03 268
176520 [질문] 버크셔 해서웨이의 기업구조가 궁금합니다. [1] 부동산부자261 24/06/03 261
176519 [질문] 취득세 관련 질문 드립니다.(아파트 분양권 구매 내년입주) [6] 파쿠만사247 24/06/03 247
176518 [질문] 액상시럽 보다는 유기농 비정제 설탕이 그나마 몸에 좋을까요? [8] 독각440 24/06/03 440
176517 [질문] 요즘 미세먼지 없이 좋은 날씨는 어디서 온걸까요? [7] 20060828686 24/06/03 686
176516 [질문] 휴일에 63빌딩 주차 어떤가요? [9] 시무룩865 24/06/03 865
176515 [질문] NCS 단기간 공부방법 [5] 사자557 24/06/03 557
176514 [삭제예정] 이거 혹시 cctv 인가요? [3] 삭제됨893 24/06/03 893
176513 [질문] 게임과 관련된 독특한 업이 있을까요 [13] 무냐고1064 24/06/03 1064
176512 [질문] 포켓몬 아르세우스 몇 살부터? [10] 해모도리788 24/06/03 788
176511 [질문] 새안경 적응 실패중 [5] 당근병아리991 24/06/03 991
176510 [질문]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 소식 아시는분 계신가요 [2] chamchI701 24/06/03 701
176509 [삭제예정] 주위 사람이 전파공격을 받고 있다는데 뭐라고 대답해야 하나요? [23] will2003 24/06/03 2003
176508 [질문] 대만 입국심사 질문드립니다 [8] 리코타홀릭582 24/06/03 582
176507 [질문] 소소하지만 급을 올렸을 때 급격히 체감되는 물건? [54] 사람되고싶다2940 24/06/02 2940
176506 [질문] 천오백에서 이천만원 정도 적금들려면.. [8] 엔쏘2009 24/06/02 2009
176505 [질문] 디카페인 더치 원액 추천 해주세요. [4] 안철수1418 24/06/02 1418
176504 [질문] 기존 컴퓨터 켜지지 않는 문제 [11] 이혜리1645 24/06/02 1645
176503 [질문] 챗지피티나 클로드같은 ai 사이트 구독할만 할까요? [9] wersdfhr2007 24/06/02 2007
176502 [삭제예정] 준중형 이상 사겠다는 사람에게 경차 소형차만 추천하는건 무슨 심리일까요? [48] 삭제됨3168 24/06/02 3168
176501 [질문] 고량주 질문 입니다 [12] 플스51350 24/06/02 13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