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19 16:24:33
Name Lord Be Goja
File #1 IMG_2368.jpeg (793.3 KB), Download : 76
File #2 IMG_2369.jpeg (532.8 KB), Download : 76
출처 러닝갤러리
Link #2 https://m.dcinside.com/board/running/278737
Subject [기타] 의외로 한일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분야






마라톤

한국국적 선수중 2시간10분내로 뛸수있는 선수가 없습니다

협회에서 이걸 어떻게든 해보려고 외국인 귀화까지 시켜봤는데 데려올때는 2시간 5분13초라는 빠른 속도로 달리는 선수였지만 국내의 치열하지못한 경쟁풀과 부상문제때문에 2시간 10분급 선수로 내려갔고 그래도 여전히 국내에서는 1위이며  그래도 올림픽 출전컷은 못넘어서 한국은 이번에 마라톤을 못나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랜슬롯
24/05/19 16:28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부분들도 인구나 인프라의 차이를 고려한다면 차이가 더 벌어지면 벌어졌지 줄지는 않을텐데 쉽지 않네요. 
수금지화목토천해
24/05/19 16:28
수정 아이콘
생활체육의 나라 vs 국위선양을 위해 국가가 돈들여 선수를 키우는 나라의 차이죠. 운동을 즐기는 문화가 우리나라도 점차 퍼지고 있으니 차이가 좁혀지리라 예상합니다.
Lord Be Goja
24/05/19 16:3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점점 운동을 많이 즐기고 붐도 일어나는건 사실이지만
20-30대의 미용관련 운동(헬스-보디빌딩-크로스핏)이나 30-40대의 아 이렇게 살면 안되겠구나 하고 시작하는 운동들 위주다보니 여전히 프로스포츠나 올림픽급선수를 키울때 필요한 청소년 운동은 취약한편이죠
수금지화목토천해
24/05/19 16:33
수정 아이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꼭 건강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운동이 운동 자체로도 즐겁고 가치있는 활동이라는 것을 알게된 어른들이 자녀와 함께 운동하길 기대해봐야죠. 운동은 습관이니까요.
안전마진
24/05/19 20:30
수정 아이콘
이렇게 살면 안되겠구나 크크크
너무 공감이
당근케익
24/05/19 16:33
수정 아이콘
문제는 학생 생활체육이 전혀 안된다는 점이죠
원주민
24/05/19 16:56
수정 아이콘
생활체육하던 일본이 2010년대부터 엘리트체육에 본격적으로 역량을 쏟아붓고 있고 그 결과물이 나오는 터라 간극이 더 커질 겁니다

https://www.newstof.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12059
김삼관
24/05/19 16:31
수정 아이콘
경쟁하려면 인프라나 선수풀도 중요하겠죠 
영양만점치킨
24/05/19 16:32
수정 아이콘
20대에 기량이 만개하려면 10대에 경험해서 재능을 찾아야 할텐데, 이젠 불가능해 보이긴합니다.
다람쥐룰루
24/05/19 16:37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우리나라보다 일본이 더 뛰기 힘든 환경인거같은데...
우리나라는 학생때 체육이나 예체능을 하는 문화가 너무 없는거같아요 하다가 때려치울거같으면 안한다는 마인드인가...
그러면 뭐 박사 안할거면 순수학문은 공부 안할건가
기사조련가
24/05/20 12:03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애들 운동 시키면 피곤해져서 공부 못해서 대학 못가면 책임질꺼냐고 항의 들어와서죠
24/05/19 16:38
수정 아이콘
어릴때 운동을 하는 문화가 있어야 하는데 우리는 정 반대라 힘들죠.
미국에서 2년정도 학교 다녔는데 운동 좋아하고 잘하고 팀 활동하니 아주 좋은 평가받았습니다
한국 들어와서 매일 운동하면서 친구들 꼬시니 학부모들이 학교랑 제 부모님께 항의했습니다.
댓글자제해
24/05/19 16:38
수정 아이콘
문제는 중고등학교...
운동이고 나발이고 학생은 공부를 해야지에 기반한 운동 기피
버트런드 러셀
24/05/19 16:49
수정 아이콘
옛날처럼 체력장을 입시성적에 반영!!
Easyname
24/05/19 16:41
수정 아이콘
너육상해서먹고살거야다너를위해서하는말이야너그러다성적얼마나나오나기억해둘거야
키모이맨
24/05/19 16:53
수정 아이콘
한국이 왜 롤을 그렇게 잘하겠습니까 크크 모두 다 유스풀과 인프라죠
안군시대
24/05/19 16:56
수정 아이콘
그냥 단순하게... 주변에 육상부 있는 중고등학교를 본 적이 있긴 하십니까? 적어도 저는 하나도 못봤습니다;;
자녀들이 운동에 재능이 있다손 치더라도 앞으로 프로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야구, 축구, 농구 뭐 이런걸 시키지 마라톤이나 단거리 같은건 안시킬거 같아요.
강문계
24/05/19 16: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방과후 부활동 뭐라도 하는 나라와
학원 인강 편의점 독서실 뿐인 나라

프로, 하다못해 대학가는 운동 아니면 다 시간 낭비 취급하는 나라
운동부. 특히 남학생은 뭐먹고 살래 소리를 백만번 쯤 들으면 존업하는 나라
24/05/19 16:59
수정 아이콘
굳이 올림픽 메달이나 엘리트 성적 늘리기 위해 개인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노력해야하나 싶긴 합니다
24/05/19 17:06
수정 아이콘
국민들 대다수가 이렇게 확고하게 여기면 대수롭지 않은 일인데 올림픽에서 0골드 나오면 당장 나라 망한듯이 여론이 박살날거라서 안되죠.
24/05/19 17:21
수정 아이콘
정말 인식 변화가 좀 필요해요.. 금메달이 뭐 국민들 밥 먹여주는 것도 아니고
지켜보고있다
24/05/19 17:10
수정 아이콘
저희회사에 일본에서 오신 분이 울트라마라톤 뛰시던데
저변이 대단하긴 한거 같습니다
승승장구
24/05/19 17:17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 자체가 거대한 스팀팩쓰는 마린같습니다
과감히 일정부분 버리면서 땡긴것치곤 나름 최선의 결과물이 나온거 같긴한데
이제 청구서 돌려받는 일만 남은듯
24/05/19 17:32
수정 아이콘
생활스포츠와 연관있는 거의 모든 스포츠가 마찬가지 아닌가 싶네요.
회색사과
24/05/19 17:4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스포츠 == 엘리트 or 회사원 되고나서 뭐라도 해야할 것 같아서 하는 것
24/05/19 17:50
수정 아이콘
이봉주가 카본화 신고 달렸으면 얼마나 뛰었을까가 궁금합니다.
부스트 글라이드
24/05/19 18:1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산이많고, 인도가 좁고, 뭣보다 해외로 나가야하는 수준의 강한겨울때문에 육상은 더더욱 힘듭니다.
우리나라 마라토너들이 겨울때 꽤 힘들어하고 그나마 적게드는 일본 오키나와같은곳으로 전지훈련을 가죠.
우리나라 겨울은 그냥 추운게 아니라 폐를 얼어붙게 만들정도니까요.
크레토스
24/05/19 18:27
수정 아이콘
웃긴게 정작 조선시대 선비의 여섯가지 덕목 중엔 궁술, 승마가 있었죠..
승마는 하체 근력 키워주고 궁술은 상체 근력을 키워주고요. 그렇게 평소 단련을 하니 지나가던 선비들이 그렇게 많고 의병도 일으키고 그랬던 건데
대한민국 들어선 그냥 책만 읽는 거 원툴 되버림
24/05/19 18:39
수정 아이콘
210언더는 엘리트스포츠의 영역일텐데 왜 생활스포츠가 나오는가 싶습니다.
동아프리카 마라토너들의 약진으로 대규모 투자로 어떻게 해볼 수준도 아니게 되었고, 그렇다고 아웃라이어가 나오는것도 아니니 자연스레 멀어지는거죠.
Lord Be Goja
24/05/19 18: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케냐와의 비교도 아니고 일본과의 비교인데 동아프리카 이야기는 왜ㅜ나오나 싶습니다.엘리트 체육인이라고 해도 저변이 넓어야 하나둘씩 나오는거고 저런지표없이 생활체육만 이야기해도 유년-청소년기의 야외활동이 처참한게 현실인데요
그리고 투자를 안하는것도 아닙니다 지자체들이 육상선수를 돈 줘가며 키우고 있어요.(링크글의 내용도 그렇게 육성하는 선수들이 성적은 터참하면서 아마판에 부심부리는거 비판하려고 쓰는글)귀화도 몇번이나 시도했구요.
24/05/19 18:58
수정 아이콘
메달권에 들 스타플레이어가 안나오면 투자가 한계가 있기에 이야기하는거죠. 선수들이 부심부리는거와는 별개로 한국이 육상(특히 장거리)하기 좋은 환경도 아니고.
24/05/19 19:17
수정 아이콘
https://m.sports.naver.com/general/article/550/0000000013
17년도 기사라 요샌 어떻게 변했을지 모르지만 이 기사가 맞지 않나 싶어요
기업팀 들어가서 힘들게 훈련하는거 보다 지차체팀 들어가면 적당히 꿀빨 수 있어서 라는게 첫번째 이유라는데 지차체들이 돈 쓰는게 기록엔 의미가 없지 않나 싶어요
24/05/19 20:38
수정 아이콘
이거 보면 복싱이 망한 이유랑 비슷해 보이는데...
24/05/19 19:22
수정 아이콘
과연 외국인 선수들을 국적세탁까지해서 메달을 따야하나..... 뭐하는 짓인가 싶어요.
24/05/19 20:00
수정 아이콘
없으면 없는거지
이게 문제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문제
24/05/19 20:22
수정 아이콘
근데 마라톤을 굳이 잘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앞으로 출생인구도 줄어들고 돈 안되는 종목들은 급속도로 퇴보하겠죠
인간실격
24/05/19 20:39
수정 아이콘
환경이 불리한것도 있지만 결국 정서 차이가 커서...
24/05/20 00: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활체육 저변 확대만 잘해도 저는 만족이고..
엘리트체육은 굳이해야하나싶네요.
거기에 들어갈 세금으로 
지자체마다 빙상장, 50m수영장, 광교 판교 뚝섬등에 있는 인공암벽, 정말 드물게있는 400미터 육상트랙 같은 시설확대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875 [유머] 무당에 빠진 MZ세대... [16] 주말3792 24/06/02 3792
500874 [음식] 주방이모의 직원식 근황 [5] 캐로4395 24/06/02 4395
500873 [연예인] 한달만에 유튜브 대박난 63세 연예인 [22] 서귀포스포츠클럽5697 24/06/02 5697
500872 [기타] 억대연봉 직장 순위 근황 [19] 서귀포스포츠클럽4584 24/06/02 4584
500871 [기타] 자녀를 게임 중독자로 키우지 않고 제대로 키우는 방법.jpg [24] 영원히하얀계곡5012 24/06/02 5012
500870 [게임] 명조 최후의 수단 ver.2 [23] 한입2175 24/06/02 2175
500869 [유머] 드래곤볼) 오공이 있어서 즐거웠던 이유 [13] 고쿠2357 24/06/02 2357
500868 [기타] 길거리 어묵맛의 비밀.jpg [1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4384 24/06/02 4384
500867 [음식] 4인 가족의 저녁 특식 [9] 카미트리아3351 24/06/02 3351
500866 [음식] 독신 삼대남의 저녁밥상 [12] 환상회랑2527 24/06/02 2527
500865 [스타1] 나만 몰랐던 히드라로 리버견제 막기 [13] DogSound-_-*3827 24/06/02 3827
500864 [스포츠] 승부조작이다 vs 아니다 [38] 무딜링호흡머신6764 24/06/02 6764
500863 [방송] 심심할때 보는영상 - 인류 멸망 10가지 시나리오 [22] Croove4541 24/06/02 4541
500862 [음식] 현실적인 유부남의 밥상 [48] Danpat7849 24/06/02 7849
500860 [유머] 30대 패치노트 [46] 주말7071 24/06/02 7071
500859 [유머] 요즘 회사에서 많이듣는다는말 [18] 주말7027 24/06/02 7027
500858 [게임] 인기있는건 알았는데 이정도일줄은 몰랐던 게임 [31] 꿈꾸는드래곤6321 24/06/02 6321
500857 [기타] 의외로 외국에서도 써먹고 있는 밈 [22] 묻고 더블로 가!5979 24/06/02 5979
500856 [유머] "꿈에 오랜만에 아빠가 나왔다" [9] 길갈5314 24/06/02 5314
500855 [기타] 잠 못잘 것 같은 로또 당첨자.jpg [17]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6336 24/06/02 6336
500854 [기타] 맛있어 보이는 키캡 [13] 쎌라비3851 24/06/02 3851
500853 [유머]  F1에 상식적인 안전 규정이 굳이 있는 이유 [35] kapH5233 24/06/02 5233
500851 [기타] 북한 오물폭탄 피해사례 [45] 주말6759 24/06/02 67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