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1/14 03:30:11
Name 반니스텔루이
Subject [일반] 요즘 유투브에서 뜨겁게 논란중인 축구 동영상..


작년에 로마가 ac밀란전에서 썻던 전술.. 설명이 자세히 나옵니다.



↑가장 최근에 맨유vs첼시에서 나온 호날두 골 무효..

위에 호날두 골 무효 동영상이 유투브에서 댓글 1200개 가량이 달리면서 논쟁이 있었는데요.
지금은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서 다른분이 또 올려주셨네요.
이것도 언제 삭제될까 걱정이군요.

규정상 문제는 없어보이나 비신사적인 플레이를 했다고 욕을 하는 사람도 있고 센스 있다, 선심이 잘못했다 등등 의견이 엇갈리네요.

흠..펌글 동영상이라 자게에 5줄로 올렸는데 괜찮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iemann Integral
09/01/14 03:49
수정 아이콘
저도 축구 보다가 긱스가 저런 실수를 할까 생각 했었는데
이런 장면이 있었군요..;;
규정상 문제는 되지 않아 보이는데 처음보는 장면이라 심판들도 당황한것 같습니다.
아쉬운건 호날두의 1골..;; 그래도 곧이어서 골 넣었으니 다행이었죠.

좀더 연구해서 심판들도 어쩌지 못하게 만들면 좋겠군요.
하리하리
09/01/14 03:52
수정 아이콘
뭐 규정상은 딱히 문제가 없어보이긴하죠

공놔주는선수가 아무도모르게 살짝차고 상대팀에겐 '키커'로보이는선수가 코너킥이아닌

드리블을 하는...

개인적으론 딱히 비신사적이라고 생각하지도않고 제가 아주 깊숙한규정까진 잘모르지만(축구도 알다보면...정말 깊이들어가면
생각지도못한 규정들이 많더군요..) 그 깊숙한규정내에서도 딱히 저상황에 대한 제지를 가할수잇는 규정이없다면

저것도 전술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물론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비신사적이다,아니다 왈가왈부 될수는 있다고봅니다.

공돌리기와 비슷하달까요...예전에 한창 비야에게 욕을 선사했던 코너킥라인에서 공끌기(물론 이건 앞뒤모르고 까시는분들이 훨씬

많긴합니다만은.)와 비슷하달까요..이것도 능력이죠... 비야가 키핑력이 애지간히 좋으니까 가능했던장면이기도 하고..

저것도 성공하니까 왈가왈부되는거지..만약 실패하면

"쟤네뭐하는거?" 이러겠죠... 능력도 어느정도있어야 성립되는 플레이라고 봅니다..

어쨌든 정리하자면 전 개인적으론 전술의 일부분이라고 보고싶네요...
적 울린 네마리
09/01/14 04:51
수정 아이콘
잘 모르지만, 밀란과의 약간 다른점이 루니가 그라운드안에서 코너플랙부분으로 와서 터치를 하고 그라운드로 들어가는 건 문제 없나요?

신사적이다 아니다를 떠나 저런 셋피스를 연습하고 그걸 한번에 골로 연결할 수 있는 능력치들이 대단하네요..
StarInTheNight
09/01/14 05:05
수정 아이콘
허용하기에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프리킥이나 코너킥 상황에서
키커는 주심의 사인이 있기 전까지 킥을 하기 전에
가볍게 공을 만지면서 공의 위치나 모양을 조절하는게 허용됩니다.
대부분 손으로 하긴 하지만 허리를 숙이고 발로 톡 건드리면
상대편에서는 그게 공을 찬 것있지 위치를 조절하고 있는 것있지 알 수 없습니다.

프리킥 한다고 벽 쌓고 있는데
갑자기 키커가 드리볼을 한다면...
그러면서 하는 말이 "아까 너희들이 보기 전에 공 건드렸다."
참 황당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만약 루니처럼 터치를 하고 간 후 상대 수비가 달려와 킥을 하면

"왜 킥을 하려고 하는데 건드리냐?"
"킥을 하지 않았냐?"
"아니다 공의 위치를 살짝 조정했을 뿐이다!"
"분명 공을 건드렸기 때문에 킥을 했다!"

이런 식으로 서로 싸우게 되비 않을까요?
현재 규정 상 문제가 없더라도 비신사적 플레이라고 생각됩니다.
반복된다면 규정이 생겨서 금지하게 되겠지요.
The)UnderTaker
09/01/14 05:13
수정 아이콘
StarInTheNight님// 프리킥과 코너킥시에는 키커는 드리블 못합니다.
다른 선수가 터치하기전에 재터치하면 무조건 반칙입니다.
또한 프리킥 수비벽 요청시에는 주심의 신호가 있기전에는
터치 불가능합니다 (물론 볼의 위치 재조정은 가능)


맨유같은 경우 루니가 그라운드 안에서 터치하고 갔기때문에 문제가 되는거 같은데 글세요
확실히는 모르겠습니다.;
이것에 관한 규정을 찾기가 쉽지 않네요.
보통 코너킥시에 그라운드 밖에서 패스를 하든 높게 올리든 하는게 보통의 플레이였는데
루니는 그라운드에서 바로 패스를 해버리니.
낭만토스
09/01/14 05:18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엔 주심이 차라고 휘슬을 불고 공의 일부분이라도 프리킥하는 팀의 선수에 닿는 순간 킥을 인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 상황의 경우 심판이 코너킥을 차라고 휘슬을 불었고, 그때 루니가 살짝 공을 차서 킥을 시작해놓고, 긱스랑 교체하는 척을 했죠.
그래서 첼시가 머뭇하다가 골을 먹혔는데, 심판의 휘슬이 있는 상태에서 무슨 연유로든지 선수의 몸에 볼이 닿는 순간 킥으로 인정해서
인플레이를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마치 골프에서 선수가 걸어오다가 전혀 플레이 할 생각없고 그냥 자리로 가는건데 모르고 공을 건들였다고 다시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요

근데 이것도 애매한게 맨유의 경우는 그래도 루니가 공을 미는게 제대로 보여서 에쉴리콜 선수가 어? 막아야 하나? 하고 앞으로 움직이다가
긱스의 모습을 보고 '그냥 키커 교체군'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as로마의 영상의 경우 그야말로 진짜 살짝 차서 가까히 공을 주시하는 것이 아니면 알아채기 힘들겠습니다.

굉장히 애매하네요
woolrich
09/01/14 08:25
수정 아이콘
플레이 자체는 문제 없어 보이나 자기편 선수끼리만 알게 해놓고 플레이 해버리면 당연히 심판이 다시 차라고 하겠죠

심판이 상황을 인지 했는지가 중요한 관점이 될듯하네요.
난다천사
09/01/14 10:34
수정 아이콘
The)UnderTaker님// 말씀해주신것중에 "수비벽요청시에는 주심의 신호가 있기전" 이라고 말씀하신부분은 잘못된것입니다..

주심에게 신호를 요청할수있는 권리는 오직 공격자에게만 있습니다..

수비팀은 신호를 할것인지 말것인지 물을수만 있죠..

작년 챔스리그 맨유vs리옹 경기에서 긱스의 벼락 프리킥 골이 그 사실을 말해주죠..

주심이 휘슬이 필요하냐고 물었을때 긱스는 필요 없다고 했습니다..

이때 수비가 취할수있는 방법은 프리킥 차기전 공을 막고 서있고 수비를 재정비할 시간을 버는겁니다..

이시간이 길어지면 공격자가 심판에게 휘슬을 요청할수있고 그때야 비로서 수비는 공으로부터 9미터 밖으로 나가야합니다
언제나 초보
09/01/14 10:38
수정 아이콘
코너 플래그 앞에 라운드를 그려놨는데 그걸 안벗어나면 인플레이로 인정 안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휘슬을 분 이후에 터치는 인플레이로 생각하는게 맞는거 같긴 하거든요
09/01/14 11:13
수정 아이콘
난다천사님// 언더테이커님도 그 뜻으로 말씀하신거 같다고 조심스럽게 적어봅니다
09/01/14 11:36
수정 아이콘
룰이나 정당한지 여부를 떠나서 제가 보기엔 조금은 매너없는 플레이라는 생각은 어쩔수 없네요.
모두가 인지된 상태에서 진행된 플레이가 아닌, 상대를 속여서 골을 넣겠다는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학교빡세!
09/01/14 11:52
수정 아이콘
저역시 매너없는 플레이라는 생각밖에 안드는군요.
문제는 로마가 한거는 결국 못넣었고, 맨유는 다시차서 결국 넣었다는거......
09/01/14 11:53
수정 아이콘
코너킥은 지금 논란이 많지만..
간접 프리킥 상황에서는 공을 차서 한바퀴반이 굴러야 하는 규칙이 있지 않나요?
한 15년전쯤에 우연히 축구중계 보다가 알았던거라 가물가물합니다..;
생마린
09/01/14 11:54
수정 아이콘
프리킥같은건 휘슬없이 그냥 바로 차도 되지않나요?
앙리가 그런식으로 기습프리킥 많이 성공시켰는데 코너킥도 마찬가지일거같은데;
09/01/14 12:49
수정 아이콘
규정을 좀 더 엄격하게 규정지어서 인플레이 상황을 지정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만 전혀 매너없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데요?
상대가 인지를 못한 상태라는 말은 결국 다른 상황을 예로 보면 상대는 업사이드인줄 알고 수비를 하지 않고 있는데 업사이드가 아니라서
그냥 달려가서 골을 넣으면 비매너라는 말씀이신가요?
일종의 상대방의 빈틈을 노린건데, 프리킥 할때도 빠르게 속공으로 연결하는 플레이는 모두 비신사적인 플레이가 되는 거군요?
나 이제 찬다. 잘 봐라. 이런 것까지 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네요. 프로의 세계에서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 이상 최대한 기발한 플레이를 하는 것도 프로의 능력이라고 생각되네요.
09/01/14 13:22
수정 아이콘
저것도 그렇지만 날도 헤딩하는것 보면 정말 '간지'가 나네요. 정확히 보고 뛰어올라 최고의 타점에서 오차없는 각도조절로 헤딩하는걸 보면 정말 멋집니다.
Rookie-Forever
09/01/14 14:42
수정 아이콘
Timeout님// 그런 규정 전혀 없습니다. 프리킥 코너킥 상황에서 볼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바로 인플레이입니다.

제가 이부분에서 견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대한축구협회에서 심판활동 하고 있습니다 . 일단 저 상황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로마가 한 세트피스 상황은 일단 부심이 첫번째 터치를 못본 것 같습니다. 아니면 비신사적인 행위로 어게인을 상황 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두번째 맨유의 세트피스 상황에서는 마찬가지로 비신사적인 행위로 주부심이 판단 한 것으로 보이네요 . 두 세트 피스 상황모두 규정에는 이상없는 플레이입니다. 여기서 왜 비신사적인 행위든 뭐든 규정을 어기지 않는 범위에서 골을 넣으면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을 가지시는 분이 계실 것 같은데요 . fifa 에서는 페이플레이를 우선으로 하여 축구경기를 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부심들이 이런 판정을 했던것 같네요. 하지만 심판의 판정에 있어서는 100% 주부심의 재량입니다. 만약 다른 주심이 인플레이를 선언 했다면 경기는 그대로 가는 것이겠구요. 그 이후 상황은 항의를 하든 어떻게 되겠지요.. 위의 세트피스 상황에 대한 제 의견은 이 정도면 된거 같구요 ...

두번째로 코너킥이나 프리킥에서의 시그널 상황을 말씀드릴께요. 먼저 주심이 휘슬을 부는 경우는 많은 분들이 생각하고있는 것 보다 아주 경우가 적습니다. 첫째로 킥오프때 휘슬을 붑니다. 두번째는 파울일때 휘슬을 붑니다 . 그 외에 모든 경우에서는 휘슬을 부는 경우는 없습니다. 근데 휘슬 소리를 자주 들을 수있죠.. 그이유는 심판의 본분은 판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경기를 도와주는 도우미의 역할 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애매하게 골라인 아웃 됐을때 , 골이 들어갔는지 안들어갔는지 애매한 상황일때 , 프리킥에서 수비간격을 위해 조정을 하고 난뒤 , 선수들을 부를때 , 등등 경우에서 경기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휘슬을 부는 것 입니다. 코너킥 , 드로인 , 골킥 에서는 휘슬 부는 경우가 없습니다. 잠시 경기가 중단 되었다가 재시작할 경우를 제외하면 휘슬을 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직접프리킥에서 심판이 수비위치를 조정하기 전에 키커에게 휘슬을 불때까지 차지마라고 말합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키커가 수비위치를 조정해달라 .. 이런식의 의사표현이없다면 바로 키커는 공을 찰 수 있습니다. 물론 휘슬 또한 필요없구요
또한 골이 들어갔을 경우에도 수신호만하지 휘슬은 불지 않습니다. 그물이 출렁거리면서 골이 들어갔는데 무슨 시그널이 필요하겠습니까.
많은 분들이 주위 동료들과 공 찰때 심판들이 휘슬을 남용하더군요 ..

제가 말주변이 없어서 제대로 글썼는지 모르겠네요. 더 궁금한 것이 있다면 성실히 답변은 해드릴 수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The)UnderTaker
09/01/14 16:26
수정 아이콘
난다천사님// 음 같은 의미로 말한것이였는데 뜻이 잘못 전달 되었나 봅니다. 죄송합니다.
인디님// 맞습니다

Rookie-Forever님//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코너킥시 키커가 그라운드 안에서 패스를 해도 규정상에는 문제없는건가요?
루니같은 경우를 지금껏 축구보면서 처음이라 궁금하네요
09/01/14 17:00
수정 아이콘
The)UnderTaker님//
상식적으로 어디서 킥을 하건 상관없을 것 같은데요.
드로잉과달리 킥하면서 몸이 금을 밟으면 안된다거나, 뭐 이런 제한도 없지 않습니까?

만약 안에서 차면 안된다는 규정이 있다면, 킥을 하면서 발이 금을 밟아도 파울이냐 아니냐 논란이 심할 것 같네요.
09/01/14 17:01
수정 아이콘
속임 수를 쓸 수는 있지만 비신사적인 속임수로 판단된다면 경고를 줄 수 있다고 규정에 되어있습니다. 그 외의 규정은 찾아보았지만 전혀 없군요 :)
Rookie-Forever
09/01/14 17:07
수정 아이콘
The)UnderTaker님// 아무런 문제 없습니다 . 코너킥시 키커의 발에 의해 볼이 움직이기만 하면 인플레이입니다.
폭렬저그
09/01/14 17:28
수정 아이콘
Rookie-Forever님//

프리킥 상황에서는 저런 "얼렁뚱땅" 장면에 대해서는 대부분 인플레이 시키는데

뭐 대표적장면으로는 98월드컵 브라질 - 덴마크전 이 떠오르는데..

왜 굳이 코너킥에서는 "얼렁뚱땅" 장면에서 중단을 시켰을까요 ?
테페리안
09/01/14 17:28
수정 아이콘
Rookie-Forever님// 감사합니다. 역시 피지알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있군요. 국회의원만 빼고.... 아 국회의원은 사람이 아니었지...
Rookie-Forever
09/01/14 18:46
수정 아이콘
폭렬저그님// 예를 든 상황을 제가 못적이없어서 정확한 답변은 못드리겠습니다만 보통 코너킥 세트피스 상황에서 (속공을 제외하고)
웬만한 공수 선수들이 다 박스안에 다 들어오게 되있죠. 그래서 주부심또한 매우 판정해야할 부분이 많습니다. 심판 강습회를 받아보면 주심의 포지션 . 즉 주심의 행동반경이 있습니다. 많은 것중에 대표적인 것은 첫째로 볼진행방향의 뒤쪽 , 둘째로 부심을 한눈에 볼수있는 포지션
뭐 그런것을 들수 있겠지요 . 여기서 코너킥상황에서 주심의 위치또한 매우 중요하겠지요 . 키커를 볼수 있어야겠고 부심도 볼수 있어야 겠고 무엇보다 서로서로 매치되어있는 선수들도 한눈에 볼수 있어야 됩니다. 주심이 이 모든 것을 키커가 볼을 차기전에 세팅(?)을 끝내고 있어야겠죠. 물론 수비수든 공격수든 마찬가지 겠구요 . 이러이러한 요소들때문에 주부심이 목격하지못한 그리고 비신사적인 플레이 여러부분이 겹처서 어게인을 선언 할 수 있는거 같습니다. 물론 심판의 판정은 100% 주심의 재량입니다 ! 부심은 판정의 권한이 전혀 없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210 [일반] 이천수때문에 한국 이미지가 안좋아졌다? [20] 반니스텔루이4625 09/07/03 4625 0
14190 [일반] 맨유, 마이클 오웬 영입? [47] 반니스텔루이4952 09/07/03 4952 0
14179 [일반] 데 라 레드 은퇴 ㅠ ㅠ [14] 반니스텔루이4816 09/07/02 4816 0
14076 [일반] 컨페더컵 결승전 중.. 미국// [139] 반니스텔루이3426 09/06/29 3426 0
14036 [일반] 오늘 무도는 정말 레전드인듯 [77] 반니스텔루이8678 09/06/27 8678 1
14009 [일반] 임창정씨 노래 동영상 몇 곡 [17] 반니스텔루이4125 09/06/26 4125 0
13990 [일반] 컨페더레이션컵 4강 브라질vs남아공 경기결과 [3] 반니스텔루이4084 09/06/26 4084 0
13620 [일반] 세바퀴 정말 재밌네요. [44] 반니스텔루이5004 09/06/11 5004 0
13496 [일반] [긴급 속보] 카카 레알 가기 위해 메디컬 테스트중!!! [20] 반니스텔루이4023 09/06/08 4023 0
13466 [일반] 6월 6일자 유럽 축구 각종 루머와 일어난 일 소식. [15] 반니스텔루이5049 09/06/06 5049 0
13352 [일반] [축구 이야기] 현재까지 여름 이적시장 정리 [42] 반니스텔루이4659 09/06/02 4659 0
12517 [일반] 드디어 불만이 폭팔한 카를로스 테베즈 [39] 반니스텔루이5790 09/05/10 5790 0
12223 [일반] 맨유 vs 토튼햄 보고 있나요.! [35] 반니스텔루이4202 09/04/26 4202 0
11937 [일반] [EPL] 첼시, 리버풀, 맨유의 남은 경기 일정 [40] 반니스텔루이5201 09/04/12 5201 0
11543 [일반] 챔스 8강 대진표 확정 [51] 반니스텔루이4997 09/03/20 4997 0
11302 [일반] 오늘 서울역에서 있었던 끔찍한 일 [10] 반니스텔루이5769 09/03/07 5769 0
10687 [일반] 보싱와 가격 장면. [26] 반니스텔루이6657 09/02/02 6657 1
10610 [일반] [EPL 22R] WBA vs 맨유 - 선발라인업 (박지성!!!!) [41] 반니스텔루이4547 09/01/28 4547 0
10397 [일반] 리오 퍼디난드의 라디오 방송 중 인종차별에 관한 말.. [10] 반니스텔루이4892 09/01/16 4892 1
10331 [일반] 요즘 유투브에서 뜨겁게 논란중인 축구 동영상.. [24] 반니스텔루이7970 09/01/14 7970 0
10309 [일반] 2008년 피파 올해의 선수상. 발표가 났습니다. [21] 반니스텔루이4868 09/01/13 4868 0
10171 [일반] 싸커라인 필진들이 선정한 2008년 축구 베스트 11 [31] 반니스텔루이7044 09/01/06 7044 0
9873 [일반] 2008/09 챔피언스리그 16강 대진표 확정(대박 매치업!) + 8강 예상해봅시다!! [59] 반니스텔루이5031 08/12/19 503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