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28 01:14:50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397626523
Subject [일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 마침표와 물음표 사이.(노스포)
'하마구치 류스케'라는 이름은 솔직하게 말하자면 <드라이브 마이 카> 이후로 저에게 강하게 각인된 이름이었습니다. 약간의 판타지와 허무함, 그리고 그 미묘한 '하루키식 감성'을 끌어와 구현된, '적절히 상처받아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는 방식이나, 혹은 그 이후 접했던 <우연과 상상>에서의 기묘한 만남과 그 이어짐에 대한 묘사 등, 하마구치 류스케는 좋은 이야기꾼으로서의 능력을 보여왔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영화,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그런 점에서 약간은 비슷하면서도 이질적입니다. 3시간에 가까웠던 <드라이브 마이 카> 보다 훨씬 느릿한 전개로, 가장 시청각적으로 기묘한 영화입니다. 음악과 함께 고조되던 화면이 어느 순간 음악이 뚝 끊기지 않나, 딱히 별 다른 대화 없이 화면 상에서 바뀌는 지점도 있습니다만, 모든 구성들이 굉장히 꽉 채워진 느낌입니다. 영화의 상당히 많은 부분들이 기묘하고, 구성되어 연결되어있지만, 의도적으로 잘려있기도 합니다. 영화는 그런 점에서 감상을 끊임 없이 '방해'합니다. 가까이 오는 걸 최대한 막는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영화의 서사는 '이게 두 시간 가까운 시간이라고'에 가깝습니다. 이건 감탄일 수도 있고, 비꼼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느릿한 전개에 서사 자체도 굉장히 빈 공간이 많아요. 넌지시 던져주는 이야기는 많지만 드러내거나 혹은 자세히 유추할 수 있는 부분도 굉장히 적습니다. '그럴 수도 있지 않을까'만 남겨놓고, 별 이야기는 없다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어느 마을에, 글램핑장을 만드려고 합니다. 라는 한 줄짜리 이야기가 영화의 절반 이상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영화의 주된 소재는,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이방인'입니다. 영화 속 시각에서 모든 것들은 이방인입니다. 자연을 제외하고는요. 그리고 그 모든 이방인들은 기존의 것들을 밀어내고 자리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영화의 이야기는 그래서 기존의 이방인과 새로운 이방인, 그리고 다시금 등장하는 그 이방인들의 이야기이고, 그렇기에, 영화의 제목은 마침표와 물음표를 오가는 제목이라고 생각해요.

그 미묘한 선과 악의 경계선이 굉장히 충격적인 방식으로 전달되고, 관객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뒤집는 방식이기에, 어쩌면 이 제목은 절규에 가까운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기도 합니다. 어찌보면 끝끝내 선을 믿고 싶은, 성선설을 주장하고 싶은 목소리로 내뱉는 말일 수도 있을 것이구요.

다만, 그 이야기가 앞에서의 전개, 혹은 앞에서의 이야기와는 조금 다르게, 혹은 뜬금없게 들릴 수 있다는 점은 아쉬움이 있습니다. 선과 악이 말 그대로 종이 한 장 차이라면, 영화가 조금은 더 그 선을 날카롭게, 마치 칼 끝 처럼 그렸더라면 그 울림이 더 크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 선이 너무나도 애매하고 또 가려져 있기에, 영화의 결말과 보여주는 방식은 너무나도 뜬금없거나, 혹은 이해하기 까다로운 이야기가 되어버리고 마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송파사랑
24/03/28 09:58
수정 아이콘
이번 영화는 기존 하마구치 류스케의 영화하고는 결이 많이 다릅니다.
드라이브마이카와 우연과 상상이 대화로 끌고 나가는 영화라면 이번 영화는 화면으로 끌고가는 영화입니다.
대사가 아니라 화면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것들로 영화를 보고 해석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씨네필이 아닌 이상에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영화를 좋은 영화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는 이러한 영화들을 좋아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걸 즐겼지만, 이제는 좀 별로더군요.
aDayInTheLife
24/03/28 10:39
수정 아이콘
영상 언어로 변화하는 방식이 꽤 인상적이었습니다만, 확실히 장벽은 좀 느껴지더라구요. 보여주는 것으로 말하는 것을 대체하는 거 자체는 좋으나, 방식 자체의 한계라고 해야할까요.
바보영구
24/03/28 20: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카메라는 흘러가고 음악은 분절되는게 인상 깊었습니다. 전 이전 류스케 영화만큼 좋았던거 같습니다.
일본의 샤머니즘인데 종교가 안닿아있는 것도 새로웠습니다. 외지인의 동네라 이국적인 느낌이 있네요.
aDayInTheLife
24/03/28 21:49
수정 아이콘
배우의 행동도 분절되고, 음악도 분절되지만 카메라는 멈추지 않았던 부분이 인상적이더라구요.
어쩌면 카메라가 원 주인이고 행동도 음악도 이방인일 수도 있겠지요. 묘하게 관음적인 느낌도 들구요. 크크
우리는 모두 외지인이고, 사슴 뿐만이 원래의 것은 아니었을까 싶으면서도, 어쩌면 사슴마저도 자리를 지키는 나무의 가시에 찔리는 이방인일지도 모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524 [정치] (수정)노인층에 대한 조건부 운전면허 추진 [71] Regentag6276 24/05/21 6276 0
101523 [일반] 32사단 신병훈련소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신병 1명이 사망했습니다. [138] 매번같은10474 24/05/21 10474 2
101521 [일반] 아래 여시 사태에 침묵하는 기자 글 보면서 드는 2018년 혜화역 시위 취재 기자 기사 [59] petrus6812 24/05/21 6812 16
101518 [일반] (스포) 드라마 눈물의 여왕 간단 감상문 [18] 원장3819 24/05/21 3819 2
101517 [정치] 유나 선생이 바라본 '2024년의 일본' [51] KOZE9860 24/05/20 9860 0
101516 [일반] 어제 인천발 샌프란시스코행 항공기가 출발 1시간 반만에 회항한 이유 [30] 매번같은10315 24/05/20 10315 0
101515 [일반] 5/31일 종료예정인 웹툰 플랫폼 만화경 추천작들(1) [14] lasd2417201 24/05/20 7201 3
101514 [일반] 중국 스파이설에 휩싸인 필리핀 조그마한 마을 여성시장 앨리스 궈 [24] 매번같은9435 24/05/20 9435 1
101512 [일반] 나르시시즘의 뿌리, 무가치감 [15] 칼대남6431 24/05/20 6431 5
101511 [일반] (얏후) 한국인들이 생활체육에 관심이 없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는 이유. [102] 캬라11657 24/05/20 11657 28
101509 [일반] 이란 대통령 탑승 헬기 비상착륙…외무장관 동승 [35] 카즈하12368 24/05/19 12368 1
101508 [정치] 윤석열 대통령 “빚만 잔뜩 물려받은 소년가장 같은 심정”…씀씀이 확 줄인다 [132] 베라히15915 24/05/19 15915 0
101507 [일반] 여성시대의 집단성희롱 사태에는 침묵하는, 자격 없는 언론과 기자들 [124] 실제상황입니다13530 24/05/19 13530 34
101506 [정치] 검찰, "김건희 여사 책 주웠다" 아파트 주민 소환 통보 [22] 조선제일검9754 24/05/19 9754 0
101505 [일반] 재미로 코딱지 파는 심리를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31] 인생을살아주세요5311 24/05/19 5311 19
101503 [일반] [팝송] 밴슨 분 새 앨범 "Fireworks & Rollerblades" 김치찌개3212 24/05/19 3212 0
101502 [일반]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 기본에 충실한 후속.(약스포) [16] aDayInTheLife4049 24/05/19 4049 2
101501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4) 광명, 서울과 애증의 관계를 맺다 [4] 계층방정3863 24/05/18 3863 3
101500 [정치] 일부 품목 해외 직구 금지 발표 2일만에 보류 [73] 매번같은8812 24/05/18 8812 0
101498 [일반] 요즘 본 애니 잡담 [22] 그때가언제라도3237 24/05/18 3237 2
101497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3) 우리는 다시 하나될 수 있을까 [6] 계층방정8198 24/05/17 8198 10
101496 [정치] 7공화국 개헌 논의를 조국대표가 먼저 던졌습니다. [143] 빼사스15132 24/05/17 15132 0
101495 [일반] GPT 추론능력의 본질은 무엇인가 [16] 번개맞은씨앗8056 24/05/17 8056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